문체부, 2025 국제저작권기술 콘퍼런스 개최…국내외 전문가 한자리에

인공지능 시대, 공정한 저작권 생태계 위한 기술과 정책 조망

디지털경제입력 :2025/11/05 18:57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강석원), 한국저작권보호원(원장 박정렬)과 함께 5일 서울 앰배서더 서울 풀만호텔에서 ‘2025 국제저작권기술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현장 행사와 동시에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되며, 영문 통역이 함께 제공됐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은 ‘국제저작권기술 콘퍼런스’는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저작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최신 기술과 정책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저작권 전문가와 기술 산업계, 학계 인사들이 폭넓게 참여했다.

행사에서는 경희대학교 이경전 교수가 ‘인공지능 규칙: 저작권 제도와 비즈니스 모델이 경쟁력이다’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고, 유럽연합지식재산청(EUIPO)의 앙투안 오베르 디지털 전문관은 ‘유럽연합 저작권 관점에서 본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이라는 주제로 초청 강연을 했다.

첫 번째 분과 세션 ‘투명한 인공지능 생태계’에서는 숙명여자대학교 김철연 교수가 ‘잊혀질 권리를 위한 인공지능 망각 기술’을, 미국 시카고대학교 벤 자오 교수가 ‘적대적 도구를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정적 영향 완화’를 발표했다. 이어 셀렉트스타 김세엽 대표는 ‘인공지능 데이터와 저작물 시장의 새로운 기회’를, 영국 서리대학교 존 콜로모스 교수는 ‘창작 저작권 교류와 진본성 보장을 위한 미디어 출처 인증 기술’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두 번째 분과 ‘공정한 저작권 생태계’에서는 독일 라이시움의 세바스티안 포스트 대표가 ‘공정하고 검증 가능한 인공지능 선호체계’를 소개했고, 에스비에스 박재현 연구소장은 ‘방송 제작 과정에서의 인공지능 전환과 권리 처리 기술’을 발표했다. 또한 유럽디지털리딩랩의 로랑 르 뫼르 최고기술책임자는 ‘텍스트 및 데이터 마이닝 권리정보 표현 기술’을, 스튜디오 메타케이 정지원 부사장은 ‘인공지능 콘텐츠 제작과 저작권’에 대해 각각 의견을 나눴다.

관련기사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저작권 보호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도 함께 이루어졌다. 문체부 장관상은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 기술을 개발한 김철연 교수가 수상했으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상은 인공지능 생성물 유사도 비교 및 디지털 식별무늬 기술 연구에 기여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현식 센터장이 수상했다. 이 밖에도 한국소프트웨어감정학회 김영모 이사, 연암공과대학교 이덕기 교수, 숭실대학교 홍지만 교수 등이 각 기관에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문체부 정향미 저작권국장은 “이번 콘퍼런스는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투명하고 공정한 저작권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었다”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창작자와 이용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건강한 저작권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정책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