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양방향 RP매매 등 단기금융시장에 성과 나타나"

한은·금융硏 공동 컨퍼런스 개최

금융입력 :2025/11/04 15:01    수정: 2025/11/04 15:15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자산운용사·비은행예금취급기관 등을 공개시장 운영 대상으로 신규 편입하고, 양방향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 도입으로 단기금융시장의 자금 순환이 원활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한은과 한국금융연구원이 공동으로 연 '단기금융시장 발전 및 KOFR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과제' 컨퍼런스에서 이창용 총재는 "최근 한국은행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영향력 증대를 고려해 이 같이 공개시장운영 제도를 개편했다"며 며"이후 단기금융시장 내 자금 순환이 원활해지고 금리 변동성도 축소되는 등 제도 개편의 성과도 점차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양방향 RP 매매란 시장 상황에 따라 한은이 유동성 부족 시 RP 매입으로 자금을 공급하고, 유동성 과잉 시 RP 매각으로 자금을 흡수하는 유연한 시장 운영 방식을 의미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단기금융시장 발전과 코파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날 컨퍼런스는 한국은행과 한국금융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사진=뉴스1)

이 총재는 "국내 단기금융시장은 지난 십여 년간 RP 시장을 중 심으로 비약적으로 성장해 금융기관간 RP 거래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원화채권 담보 외화조달이 가능해지는 등 효율성이 강화됐다"며 "동시에 RP시장을 통한 레버리지 추구가 확대되며 잠재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특히 그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단기금융시장에서 비은행금융기관의 영향력이 증대돼 중앙은행도 정책 설계 시 비은행 부문 성장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창용 총재는 "RP 시장의 건전성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을 떠받치는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한은은 금융시장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공개시장 운영이 실효성·효율성·상호성이라는 기본 원칙을 지키며 단기자금시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