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니 뒤의 남자, '다저스 왕조'를 만든 앤드류 프리드먼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LA의 월드시리즈 2연패에서 배운다

데스크 칼럼입력 :2025/11/04 15:11    수정: 2025/11/04 18:45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기자는 2012년 ‘그들은 어떻게 뉴욕 양키스를 이겼을까’란 책을 번역한 적 있다. 메이저리그 만년 꼴찌구단 탬파베이 팀의 변신을 소개한 책이었다. 원제가 ‘Extra 2%’인 이 책은 사소한 것들에 주목해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2%의 경쟁 우위를 확보한 탬파베이의 성공 이야기를 분석했다.

가난한 구단인 탬파베이는 ‘저평가 유망주’를 데려와 다시 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팀을 운영했다. 월가 투자의 또 다른 기본 원칙인 ‘위험 부담 최소화’도 중요한 운영 방침이었다. 그 방안 중 하나가 선수와 장기 계약을 할 때는 ‘팀 옵션’을 꼭 넣었다. 가능하면 팀이 선택권을 갖도록 해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당시 탬파베이 혁신을 이끈 것은 월가 애널리스트 출신인 스튜어트 스턴버그, 맷 실버맨, 그리고 앤드류 프리드먼이었다.

앤드류 프리드먼이 LA 다저스 우승 축하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중계화면 캡처)

스타파워와 시스템의 행복한 만남 

미국 프로야구 명문구단 LA 다저스가 25년 만에 월드시리즈 ‘리핏(re-peat)’에 성공했다. 물론 멤버만 보면 ‘어우다(어차피 우승은 다저스)’란 말이 절로 나온다. 오타니 쇼헤이, 무키 베츠, 프레디 프리먼 등 MVP 트리오에 더해 블레이크 스넬, 타일러 글래스나우, 윌 스미스 같은 쟁쟁한 스타들이 함께 하는 팀이기 때문이다. 투수 최고 연봉자인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일본 최고 영건 사사키 로키도 빼놓을 수 없는 스타다.

하지만 내가 다저스에서 주시하는 것은 오타니나 무키 베츠 같은 스타 파워가 아니다. 11년째 다저스를 이끌고 있는 앤드류 프리드먼의 경영방식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프리드먼은 2014년 탬파베이를 떠나 다저스 야구 운영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다저스는 부자 구단이다. 덕분에 프리드먼은 탬파베이 시절 꿈도 꾸지 못했던 엄청난 돈을 맘대로 쓸 수 있게 됐다. 그렇게 확보한 무키 베츠, 프레디 프리먼에 오타니 쇼헤이 같은 특급 스타들이 우승의 밑거름이 된 건 분명하다.

하지만 다저스의 성공은 돈 덕분만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적절한 조직 혁신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한 업적이었다. 그 과정에서 ‘굼뜬 공룡’ 다저스를 현재와 미래가 모두 밝은 ‘젊은 구단’으로 바꿔놓은 프리드먼의 탁월한 혁신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4년 다저스로 이적한 프리드먼은 구단 운영팀을 개편하면서 내부 역량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유망주 육성(팜 시스템)과 외부 스타 영입을 적절하게 조화시켰다. 덕분에 다저스는 매년 우승을 다투면서도 팜 랭킹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데이터와 분석을 의사결정의 중심에 둔 것 역시 프리드먼 시대 다저스의 달라진 모습이다. 프리드먼이 이끄는 다저스는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활용해 선수 스카우팅부터 트레이드, 계약 구조, 부상 관리 같은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다저스 야구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이번 포스트시즌에서도 키케 에르난데스, 토미 에드먼 같은 선수들이 많은 기여를 했다.

이런 기조 덕분에 다저스는 오타니나 프리드먼 같은 스타 파워와 현미경 분석 야구를 적절하게 접목할 수 있었다.

(사진=다저스 SNS 캡처)

월드시리즈 7차전 9회말 상황을 통해 이런 점을 한번 살펴보자.

다저스는 7차전 9회말 1사 만루 끝내기 위기 상황에 내몰렸다. 그러자 다저스 벤치는 중견수 토미 에드먼을 앤디 파헤스로 교체했다. 파헤스는 올해 DRS(Defensive Runs Saved) 12로 중견수 중 전체 1위였다. DRS는 수비로 얼마나 점수를 막았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다. 

그리고 2사 상황에서 거짓말처럼 중견수 쪽으로 날아오는 안타성 타구를 막아내면서 팀을 패배 위기에서 구해냈다. 사소한 사례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프리드먼 시대 다저스 시스템 야구의 강점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앤드류 프리드먼도 비효율적 투자를 범하기도 했다. 비싼 값을 주고 사온 선수가 무용지물로 전락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다저스가 부자 구단이 아니었다면, 태너 스캇이나 커비 예이츠 같은 악성 계약 사례는 두고 두고 구단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었다.

오타니의 홈런은 경기 흐름 바꿨지만, 프리드먼의 시스템은 시대 변화시켜 

이런 몇몇 실패에도 불구하고 프리드먼의 성공 전략이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주어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조직 역량을 극대화하는 능력 때문이다.

그는 탬파베이 시절엔 모자란 자원을 가치 투자 전략으로 메웠다. ‘저평가 우량주’를 최대한 활용한 뒤 가치가 정점에 이른 순간 또 다른 저평가 우량주와 바꾸는 전략을 자주 활용했다. 그런 전략으로 확보한 대표적인 우량주가 지금은 LA 다저스 에이스 투수로 활약하고 있는 타일러 글래스나우였다.

하지만 부자 구단 LA 다저스에서는 돈을 제대로 쓰면서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프리드먼은 세 가지 원칙을 세웠다. 

① 매년 경쟁한다.

② 감정보다 근거를 우선한다.

③ 실패는 데이터로 남긴다.

이 세 가지는 다저스의 DNA가 됐다. 선수, 코치, 프런트가 같은 언어로 움직인다. 이런 문화야말로 다저스의 진짜 경쟁력이다.

혁신은 선언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구조, 인재 네트워크, 조직 문화,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유연성이 모두 맞물려야 한다. 프리드먼은 야구 조직 안에서 이런 요소를 조합해내는 데 성공했다. 25년 만의 리핏은 이런 노력의 결과물이다.

물론 다저스의 우승 행진을 이끈 것은 ‘역대급’ 스타선수들이다. 제 아무리 프리드먼이라도, 오타니 쇼헤이, 무키 베츠, 프레디 프리먼, 야마모토 요시노부, 블레이크 스넬 같은 특급 스타가 없이 우승을 이뤄내긴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저스의 우승 행진이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스타’를 넘어서는 조직 역량의 결과물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런 변화를 이끌어낸 것은 프리드먼의 혁신 시스템이었다. 

오타니의 홈런은 경기의 흐름을 바꿨다. 하지만 프리드먼의 시스템은 시대의 흐름을 바꿨다. 그가 만들어낸 '다저스 왕조'는 단순한 야구팀을 뛰어넘는 감동을 선사해준다. 지속 가능한 조직이란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덧글]

메이저리그 최고 스타 오타니 쇼헤이가 다저스와 계약할 때 연봉의 98%를 지급 유예하면서 한 가지 조항을 삽입해 화제가 됐다. 그는 계약 당시 프리드먼을 비롯한 현 경영진이 떠날 경우 자신도 팀을 떠날 수 있도록 하는 권리를 보장하는 조항을 계약서에 넣었다. 이 사례는 프리드먼의 혁신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잘 보여주는 것 같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