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전 세계 창작자 86%, 생성형 AI 활용"

어도비 크리에이터 툴킷 리포트…크리에이터 경제 활성화 전망

컴퓨팅입력 :2025/11/04 10:25

전 세계 크리에이터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실제 제작 과정에 통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어도비가 공개한 '크리에이터 툴킷 리포트'에 따르면 전 세계 크리에이터 86%가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를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한국, 일본, 인도, 호주 등 8개국 크리에이터 1만6천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미지, 영상, 오디오 디자인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와 모바일 제작 툴이 실제 워크플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에이전틱 AI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전 세계 크리에이터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실제 제작 과정에 통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어도비)

어도비는 전 세계 크리에이터의 86%가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는 편집과 업스케일링 품질 향상 이미지와 영상 에셋 생성 아이디어 구상 등 제작 전 과정에 통합돼 있었고 한 가지 툴만 쓰기보다 60%가 최근 3개월 안에 둘 이상의 생성형 AI 툴을 병행해 썼다고 답했다.

AI의 효과에 대한 체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터의 76%는 생성형 AI 덕분에 비즈니스나 팔로워 성장 속도가 빨라졌다고 했고 81%는 예전에는 만들 수 없었던 콘텐츠를 만들게 됐다고 했다. 85%는 생성형 AI가 크리에이터 경제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줬다고 응답해 AI를 성장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신규 툴에 대한 탐색 의지도 확인됐다. 응답자는 개인적 조사, 소셜 미디어 트렌드, 다른 크리에이터의 추천을 통해 새로운 생성형 AI를 찾고 테스트한다고 답했다. 다만 비용이 높거나 결과물 품질을 신뢰하기 어렵거나 AI 모델 훈련 방식이 불투명한 경우 도입을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크리에이터는 저작권과 데이터 사용에 특히 민감했다. 한국 응답자의 81%가 자신의 콘텐츠가 허가 없이 AI 훈련에 쓰이는 것을 우려했는데 이는 글로벌 평균 69%보다 높았다. 어도비는 AI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신뢰와 투명성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기술로 꼽히는 에이전틱 AI에 대해서도 수요가 확인됐다. 전 세계 응답자의 85%가 자신의 스타일을 학습하는 AI 사용을 고려하고 있었고, 반복 작업 자동화 콘텐츠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성과 인사이트 제공 순으로 활용 의향이 높았다. 한국 응답자의 82%는 에이전틱 AI의 잠재력에 대해 낙관적이거나 기대한다고 답해 글로벌 평균을 웃돌았다.

관련기사

모바일 제작 환경도 빠르게 정착 중이다. 크리에이터의 72%는 모바일에서 자주 콘텐츠를 제작한다고 했고 75%는 내년에는 모바일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획 촬영 편집 게시까지 한 기기에서 끝내는 흐름이 일반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이크 폴너 어도비 크리에이터 제품 마케팅 부문 총괄 부사장은 "오늘날 크리에이터는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를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툴을 의도적으로 선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