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에 9천억 ‘물린’ 국민연금, 기업회생 야기 MBK를 위탁운용사로

[국감2025] 김태현 이사장 "손실 가능성 크다" 고개 숙여

헬스케어입력 :2025/10/24 12:26    수정: 2025/10/24 14:12

국민연금공단이 MBK를 연기금 위탁 운영사로 선정한 것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MBK의 이른바 ‘약탈적’ 사업 행태를 고려할 때 국민 노후 자금의 위탁운용사 선정이 과연 적절하냐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은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에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ESG 경영도 전혀 되지 않는 MBK와 같은 약탈적 사모펀드가 연기금을 운용하는 게 맞느냐는 국회의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올해 2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라며 “계약 직후 3월 4일 홈플러스 기업회생이 신청됐다”라고 밝혔다.

김태현 이사장은 “작년에 처음 선정하고 올해까지 정관 합의를 미룬 이유는 MBK가 국민연금 돈을 받아 고려아연과의 적대적 M&A에 쓸 것 같았기 때문에 그걸 막으려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왼쪽부터)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 (사진=국회방송)

백 의원은 “눈 가리고 아웅 아니냐. 결국 (국민연금은 MBK와) 적대적 M&A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해 계약을 체결했다”라며 “국회의원들의 문제 제기는 적대적 M&A뿐만이 아니었다”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MBK는 홈플러스 인수 당시 홈플러스 자산을 담보로 차입 매수를 추진했다. 이는 MBK의 인수 방식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란 결과로 이어졌다는 게 백 의원의 설명이다.

백 의원은 “홈플러스 직원들은 해고와 고용불안에 피눈물을 흘리고 있고 지역 상권 붕괴 등 문제가 상당하다”라고 우려했다. 관련해 지난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에도 국민연금은 홈플러스 지분을 포함해 6천121억 원을 투자한 바 있다. 현재 기업회생 절차에 있는 홈플러스로부터 해당 투자 금액의 회수는 불투명하다. 현재까지 회수된 투자금은 3천131억 원이 고작이다.

김 이사장은 남아있는 투자금에 대해 “공정가치로 판단할 때 9천억 원가량 되고, (회수 방안은) 불확실한 상태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라며 “국민연금이 투자했고, 이에 따라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책임이 있다”라고 말했다.

백 의원은 “국민의 피 같은 돈을 투자하고 9천억 원이 날아갈 판”이라며 “국민연금이 차입매수 방식의 사모펀드에 자금을 제공한 것이 잘못됐다. 이는 ESG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이에대해 김 이사장은 “사모펀드 제도를 활용해 운용사들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융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