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만성질환자는 건강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추석 상차림에는 송편‧전‧잡채‧한과‧식혜 등 고열량‧고지방‧고나트륨 음식들이 많다. 송편 3개(90g)에 포함된 탄수화물은 약 35g으로, 공깃밥 반 공기에 해당한다. 다른 음식까지 곁들이면 평소보다 두세 배 많은 열량과 당을 섭취하게 된다. 이는 혈당·혈압 상승을 초래한다.
당뇨병 환자는 고탄수화물 식품을 피해야 한다. 송편은 하루 1~2개로 섭취를 제한하고, 잡채는 당면 대신 채소 위주로, 음료는 식혜·수정과 대신 물이나 보리차로 대신하자. 과일은 하루에 사과나 배 3분의 1쪽, 포도 10알 정도로 소량만 먹어야 한다.

고혈압 환자는 찌개·국·젓갈처럼 염분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으려 노력해야 한다. 전은 간장 양념 대신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이 좋다. 신장병 환자는 곶감, 바나나, 토란국 등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고칼륨 음식은 피해야 한다.
열량을 줄이려면 먹는 순서를 바꾸자.
밥부터 먹지 말고 채소·나물을 먼저 먹고, 두부·살코기, 밥 순으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식이섬유를 장으로 먼저 보내면 혈당, 인슐린 분비가 안정화되고, 혈당 급상승 요인인 탄수화물 섭취는 자연스레 감소하게 된다. 채소·나물을 먼저 먹으면 위에서 음식이 천천히 흡수돼 나트륨 흡수가 지연된다. 음식을 담을 땐, 소형 접시를 사용하면 섭취하는 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자세 교정과 체력 분산을 통해 몸에 가는 무리를 최소화해야 한다.
자동차 이동 시에는 작은 쿠션을 허리에 대어 척추의 만곡을 유지해야 한다. 1~2시간마다 정차해 5분간 스트레칭하거나 가볍게 움직이는 것이 좋다. 명절 음식 준비 시에는 바닥에 쪼그려 앉는 자세를 피하자. 식탁이나 싱크대를 이용해 서거나 높은 의자에 앉아 조리해야 한다. 프라이팬을 들거나 설거지할 때 반복적인 동작이 많으므로 손목 관절 통증이 있다면 미리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심혈관질환이나 호흡기질환 환자는 긴 연휴 동안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심근경색, 협심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는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평소 복용하는 약물 목록과 주치의 연락처, 기저질환명을 적어 지갑에 넣어 두는 것이 좋다. 갑작스러운 흉통이나 어지럼증,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곧바로 119에 신고해야 한다.
관련기사
- [1분건강] 파킨슨병, 조기 발견·치료로 진행 늦출 수 있어2025.04.12
- [1분건강] 구강 및 안구의 건조가 지속되는 ‘쇼그렌증후군’2025.04.09
- [1분건강] 노인 천식 예방하려면 미세먼지 피하고 금연해야2025.03.11
- [1분건강] 치매, 인지 기능 강화로 예방해야2025.02.21
신장투석 환자는 투석 일정이 생명과 직결된다. 하루라도 밀리면 체내 전해질 불균형, 부종, 신부전이 악화할 수 있다. 귀성길에 오르기 전 의료진과 상의하여 투석 일정을 조정하고, 이동할 지역 근처에 투석 가능한 병원을 사전에 확인해 둬야 한다.
장기 연휴에는 의료기관 운영이 축소되므로 응급 의료망 확인도 필수다. 보건복지부 콜센터, 각 시도 콜센터, 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해 연휴 중 진료하는 병원·약국을 확인할 수 있다. 응급의료포털로도 병원 위치와 연락처를 조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