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초래 서버-배터리 간격 규제해야"

염흥열 순천향대 명예교수 "방화벽 등 설치 화재 나도 2시간 정도 견뎌야"

컴퓨팅입력 :2025/10/03 14:27    수정: 2025/10/03 14:42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경찰이 수사 중인 가운데 배터리와 서버 간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행안부와 산업계에 따르면 이번 대전 국정자원 데이터센터의 경우 배터리 옆에 서버를 보관하고, 간격이 60cm에 불과했다. 미국 등 해외에선 서버와 배터리 사이 간격을 90cm 이상 띄워야 하고 불연성 차단벽도 세운다.

이에 대해 염흥열 순천향대 명예교수는 "어떤 배터리를 사용할 것인지, 리듐이온배터리인지, 다른 배터리인지 등의 안전성 측면에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면서 "대표적으로 리튬인산철 배터리도 고려해야 한다. 다만, 고밀접 에너지 집적이 안된다"고 밝혔다. 이어 "리듐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이럴 경우는 반드시 공간 분리가 필요하다. 아니면 같은 공간이라도 방화벽을 설치해 화재가 나더라도 2시간 정도는 견딜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명예교수가 한 행사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지디넷코리아 DB)

염 교수에 따르면, 미국 소방안전협회는 배터리 상황을 고려해 별도 공간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고, 만약 같은 공간에 위치한다면 2시간 또는 1시간의 내화방화시설을 이용해 화재를 막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염 교수는 "이와 관련한 미국 NFPA 855: 2023 문건은 돈을 주고 사야 하는 문서"라며 "여기서도 공간 분리, 공간 분리가 어려우면 방화벽 설치 및 운영을 권유하고 있다"면서 "종합적인 검토와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11월 과기정통부는 전산실 면적이 500㎡ 이상인 대형 데이터센터 88곳을 대상으로 배터리 화재 확산 방지, 풍수해 대비 방안 등을 점검했다.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유발한 2022년 10월 경기 성남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재발을 막기 위해 정부가 리튬 배터리 규제 조치를 시행한 뒤 첫 점검이었다.

관련기사

점검 결과 88곳 중 73곳에서 배터리-서버 분리 보관 위반, 적정 이격거리 미확보 등 265건의 지적 사항이 나왔다. KT클라우드와 LG유플러스, 삼성SDS, 네이버 클라우드 등 주요 업체도 여기에 포함됐다. 하지만 이 중 47곳이 올 7월 18일까지 여전히 지적 사항을 보완하지 않았다. 정부는 20kWh(킬로와트시)를 초과하는 리튬 배터리의 경우 서버 등 전기설비와 다른 공간에 보관하도록 규정했으나, 이를 개선하지 않은 센터가 8곳이었다.

또 비상전원장치(UPS) 화재에 대비해 전원을 우회(바이패스)할 수 있는 설비를 두지 않은 센터는 8곳, UPS와 리튬 배터리를 같은 층에 보관하면서도 원격으로 전원을 끊지 못하는 센터는 10곳이었다. 리튬 배터리끼리 적정 거리를 확보하도록 한 조치를 어긴 사례는 27곳에 달했다. 이 밖에도 배터리와 UPS를 연결할 때 여러 전력선을 ‘문어발식’으로 설치한 사례, 배터리 화재에 대비한 급속 배기 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사례가 각각 6곳이었다. 방수, 배수 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도 4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