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이 비트코인이 금과의 상대적 변동성을 고려할 경우 최대 16만5천 달러(약 2억3천2백만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 전망했다고 미국 가상자산 매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JP모건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이 금의 민간 보유 규모를 리스크 조정 기준으로 따라잡기 위해서는 현재 수준인 약 11만9천달러(약 1억6천7백8십만원)에서 40% 가량 추가 상승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상승 기대의 핵심 요인으로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Debasement Trade)’를 꼽았다. 법정화폐 가치 하락에 대비해 금이나 비트코인 같은 실물자산을 매수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JP모건은 “개인 투자자들이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를 주도하고 있으며, 비트코인과 금 ETF로 자금 유입이 지난 분기 동안 빠르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2024년 말부터 시작된 이 흐름은 올해 들어 미국 대선을 앞두고 더욱 가속화됐으며, JP모건은 이를 장기 인플레이션 우려, 재정적자 확대, 연준 독립성 약화, 달러 신뢰도 저하 등 복합 요인의 결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ETF 자금 유입은 연초 금을 앞질렀으나 8월 이후 금 ETF로의 자금 유입이 늘며 격차가 좁혀졌다.
JP모건은 “금 가격 급등이 최근 한 달간 비트코인 투자 매력을 오히려 높였다”며 “비트코인과 금의 변동성 비율이 2.0 이하로 떨어진 것은 비트코인이 금 대비 저평가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 업비트 "추석 명절, 휴대전화 번호로 코인 선물하면 4억원 상당 비트코인 경품"2025.10.01
- 사샤 고츠 루트스탁 컬렉티브 대표 "비트코인 L2, 현실 금융으로 확장 중"2025.09.25
- 업비트 데이터랩, 알트코인 지수 80선 돌파…시장 주도 비트코인→알트코인2025.09.20
- 美, 비트코인 전략 비축할까…'100만개 매입' 논의 착수2025.09.16
또한 기관투자자들도 CME(시카고상품거래소)의 비트코인과 금 선물을 통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2024년부터 기관의 순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 들어 개인 ETF 수요 대비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