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메카, 풀스택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개

고정밀 스킬 실행기·척수반사형 안전지능으로 데모–현장 갭 해소

디지털경제입력 :2025/10/02 14:15

뉴로메카가 지난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페스타'에서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풀스택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전략을 공개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비전–언어–액션(VLA) 모델 뛰어난 추론력과 일반화 성능에 더해, '현장 안전성'과 '성공률'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뉴로메카는 실험실 데모와 실제 현장 배치 사이 존재하는 차이에 대한 기존 RFM의 해결과제를 제안했다.

첫 번째 과제는 '안전성'이다. AI가 생성한 로봇 동작이 아무리 정교해도,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산업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현장 적용은 불가능하다.

허영진 뉴로메카 CTO가 1일 퓨처테크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두 번째 과제는 '정밀성과 성공률'이다. 실제 제조·물류·서비스 현장에서는 단순한 데모 수준이 아닌, 고정밀 작업에서 안정적으로 인간 이상 수준의 높은 성공률을 보여줘야 한다

이를 위해 뉴로메카는 '고정밀 스킬 실행기'와 '척수반사형 안전지능'을 더한 풀스택 RFM을 선보였다.

뉴로메카 RFM은 AI가 만든 액션을 고정밀 실행기가 보정해 공정 성공률을 99% 이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안전지능은 ISO 국제 안전기준을 위배하지 않도록 로봇 동작을 강제 제어한다.

설령 잘못된 명령이나 위험한 동작이 입력되더라도 로봇은 사람의 척수반사처럼 즉각 회피해 '사고 없는 AI 로봇'을 구현한다.

뉴로메카는 실제 성공사례를 공개하며 현장 적용성을 입증했다. 모터 케이블 납땜 자동화는 1mm 수준의 미세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며 99% 이상의 성공률 달성했다.

분체 정밀 분주 기능은 참깨·소금·밀가루 등 다른 물성을 가진 재료를 목표 대비 ±1g 이내로 계량을 성공했다.

뉴로메카의 풀스택 RFM은 뉴로메카가 자체 개발해 온 기술로, 그간 협동로봇에 탑재되어 안전성과 현장성을 입증해 온 인디 프레임워크가 휴머노이드 폼팩터에 맞게 진화한 형태다.

또한 뉴로메카는 현장특화형 휴머노이드 4종 라인업도 함께 공개했다. ▲연구용 휴머노이드 '젠(ZEN)' ▲연구·서비스용 휴머노이드 나미(NAMY) ▲산업용 휴머노이드 '렉시스(RAXIS)' ▲메디컬 휴머노이드 에이르(EIR)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이 네 모델 모두 뉴로메카의 산업안전 RFM을 탑재해 연구·서비스·제조·의료 현장에 걸쳐 적용 가능성을 넓혔다.

허영진 뉴로메카 CTO는 "하드웨어부터 데이터·제어까지 수직 통합한 뉴로메카 강점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전 라인업에서 안전하게 쓰이는 글로벌 표준 AI 로봇을 통해, 모든 산업현장에서 안전하게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