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원격조종은 설탕과 같아…진정한 지능 가져야"

조나단 허스트 애질리티로보틱스 CRO, 휴머노이드 산업 과도기 진단

디지털경제입력 :2025/10/02 01:19

"텔레오퍼레이션은 설탕과 같습니다. 달콤하고 당장은 효과적이지만, 결국 지속 불가능한 방식이죠."

조나단 허스트 애질리티 로보틱스 공동창업자 겸 최고로봇책임자(CRO)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2025' 산업 패널 토론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로봇 산업이 자율성 없는 '원격조종'에 머무르지 말고 학습과 데이터 기반의 진정한 지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스트는 로봇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난관으로 '데모와 실제 산업 배치 사이의 간극'을 지적했다. 시뮬레이션이나 전시용 데모는 성공을 전제로 설계돼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작동할 만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조나단 허스트 애질리티 로보틱스 공동창업자 겸 최고로봇책임자(왼쪽 첫 번째)가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사회자로 참여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허스트는 로봇 학습 과정을 바이올린 배우기에 비유했다.

그는 "처음에는 교사의 시연을 따라 하지만, 결국 수천 시간 연습을 통해야만 진짜 실력이 쌓인다. 로봇도 마찬가지"라며 "다만 차이가 있다면, 로봇은 와이파이를 통해 한 로봇이 배운 것을 수많은 로봇이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로봇 학습은 ▲텔레오퍼레이션(시연 단계) ▲강화학습(반복 훈련) ▲데이터 공유(집단 학습)이라는 단계적 진화를 거치며, 이는 인간 학습과 닮아 있으면서도 훨씬 빠른 확산 속도를 갖는다.

허스트는 로봇의 넘어짐과 같은 실패 상황이 오히려 산업 수용성의 관건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봇 자체보다 실패를 연출하고 관리하는 태도가 대중의 신뢰와 인식을 좌우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로봇이 넘어졌을 때 중요한 건 로봇이 아니다. 개발자가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사람들의 반응을 결정한다"며 "당황하면 위기처럼 보이지만, 담담하게 넘기면 별일 아닌 일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허스트는 인공지능(AI)와 로봇의 결합이 만들어낼 혁신을 가장 큰 메시지로 남겼다.

관련기사

그는 "스마트폰이나 AI 비서는 뇌만 있는 상자에 불과하다. 하지만 휴머노이드는 그 뇌가 세상 속으로 나오는 순간"이라며 "정보 처리 능력(AI)과 물리적 행위(로봇)가 결합하는 것이 바로 혁신"이라고 분석했다.

허스트는 또 "로봇 폭력을 멈춰야 한다. 로봇을 발로 차거나 때리는 장면은 결국 인간의 태도를 비춘다"며, 로봇을 파트너나 반려동물처럼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