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국내 첫 핸즈프리 '슈퍼크루즈' 출시...기아보다 빨랐다

FTA 덕에 인증 절차 단축…4분기 내 캐딜락 신차에 적용 예정

카테크입력 :2025/10/01 14:11

한국GM이 국내 최초로 SAE '레벨2+' 자율주행 수준의 고속도로 핸즈프리 운전자 보조 시스템 '슈퍼크루즈'를 연내 선보인다. 국내에서 기아 고속도로 부분자율주행(HDP), 테슬라 완전자율주행(FSD)보다 먼저 도입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가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윤명옥 한국GM 커뮤니케이션 총괄 겸 최고마케팅책임 전무는 1일 서울 강남구 오크우드센터에서 열린 'GM 슈퍼크루즈 간담회'에서 "올림픽도로, 강변북로, 경인고속도로, 외곽 순환도로에서 모두 슈퍼크루즈를 사용할 수 있다"며 "한국에 슈퍼크루즈가 탑재된 신차가 출시된다"고 밝혔다.

GM이 2017년 글로벌 완성차 업계 최초로 상용화했던 슈퍼크루즈는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자율주행 레벨2단계+ 기술력으로 고속도로 등 일부구간에서 두 손을 놓고 자동차가 스스로 주행과 차선변경을 하는 운전자 보조 기능이다.

윤명옥 한국GM 커뮤니케이션 총괄 겸 최고마케팅책임 전무

슈퍼크루즈는 북미 출시 이후 23개 차종에 적용됐으며 8년간 8억7천700만㎞의 주행 데이터를 쌓았다. 이는 지구를 2만 2천바퀴를 돌 수 있는 거리로 지구에서 달까지 1천140번을 왕복하는 수준이다.

한국GM의 이번 슈퍼크루즈 도입은 세계에서 북미와 중국 이후 처음이다. 자율주행 규제와 법규가 상대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한국 시장에 핸즈프리 운전자 보조시스템을 국내에 처음 도입한 완성차 업체가 됐다.

채명신 한국GM 디지털비즈니스 총괄 상무는 "한국 시장은 자동차 회사 간의 경쟁이 심해 정보기술(IT) 인프라가 좋고 향상된 주행 보조 기술이 다양하다"며 "이런 전략적인 시장에서 GM이 한국을 미국, 중국 다음으로 슈퍼크루즈 적용 대상으로 선정했다는 것은 한국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미국 인증을 통과한 미국산 자동차 5만대에 대해 한국의 인증을 충족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는 한국GM이 수입차에 한해서는 슈퍼크루즈를 탑재한 차량을 국내에 출시할 수 있다는 의미다.

채명신 한국GM 디지털비즈니스 총괄 상무

채 상무는 "미국에서 인증된 슈퍼크루즈 장착 차량을 한미 FTA를 통해서 수입한다. FTA 규정에 따라 슈퍼크루즈를 한국에 도입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국내 생산 차량의 경우 법규적 측면에서도 그렇고, 변수가 많아서 확정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GM과 GM 본사는 슈퍼크루즈 현지화를 위해 100억원 이상을 직접 투자했다. 슈퍼크루즈는 고정밀(HD) 지도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도로 환경에 최적화하기 위해 라이다(LiDAR) 기반 차선 단위 매핑을 적용했다.

여기에는 도로 곡률, 버스 전용 차선, 공사 구간까지 반영됐다. 이를 바탕으로 총 2만3천㎞ 이상 전국 고속도로 및 주요 간선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승현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기술개발부문 부장은 "북미나 중국과 달리 국내에는 버스전용차선이 있고, 언제든지 공사 구간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도로 정보를 현지화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은 군사적 특수성 등 이유로 고정밀 지도 반출이 불가능해 한국GM 본사에 고정밀지도 서버를 구축했다.

하승현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기술개발부문 부장

다만 슈퍼크루즈는 레벨2+ 단계로 핸즈프리 주행 도중 교통사고가 나면 책임소재는 운전자에게 있다. 슈퍼크루즈의 기준 자체가 주행운전보조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채 상무는 "사고와 관련해서 저희가 발표할 때 계속 주행 보조 시스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고 말씀드린다. 사고의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다"며 "다만 슈퍼크루즈는 장거리 운전에서 피로감이나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게 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운전자의 실수 가능성을 줄여줘 안전한 운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GM은 4분기 내 캐딜락 신차에 슈퍼크루즈를 첫 적용해 출시할 예정이다. 유력한 모델은 현재 환경부 인증이 끝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이다. 윤 전무는 "4분기 내 출시할 것"이라며 "캐딜락 신차 모델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현대차그룹과 메르세데스-벤츠 등도 레벨2+ 주행보조시스템을 도입 검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도 고정밀지도를 모두 확보하고 있고, 이를 고도화하는 단계에 있다"며 "다만 국내 규제나 기술 문제 등 사안으로 논의가 길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