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치매 환자, 10명 중 4명 1년내 치매약 끊는다

석 달 내 복용 중단도 30%…전문 진료·지역 격차 복약 지속 영향

헬스케어입력 :2025/09/23 14:15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치료를 시작한 1년 내 치료약 복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건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2018년~2020년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 50만8천958명의 건강보험 진료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치매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약 44%가 1년 이내 복용을 중단했다. 30%는 90일 이내에 약을 끊었다.

복약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 ▲65세~74세 ▲의료급여 여부 ▲진료과 등이었다. 특히 비전문 진료 환자는 신경과와 정신과 전문 진료 환자보다 복약 중단 위험이 1.6배 높았다. 1·2차 병원 진료 환자는 상급종합병원 진료 환자보다 2배 이상 중단 위험이 증가했다.

사진=픽사베이

또 서울에서 전문 진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해 지방에서 같은 전문 진료를 받은 환자의 복약 중단 위험이 최대 75%까지 높았다. 복약 중단 정도는 환자 당 전문의 숫자와 관련이 높았다. 이는 병원 규모보다는 전문의 분포가 복약 지속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영건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 치료는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꾸준한 복약을 해야 한다”라며 “초기 석 달 간 전문의 진료와 보호자의 관심이 복약 순응도를 결정짓는 핵심”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아울러 “복약 중단 시 인지기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다”라며 “의료진-보호자 소통과 지속적인 복약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