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대한불교조계종,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지정 기념식 개최

장대한 크기에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의 조선 후기 후불도

생활/문화입력 :2025/09/17 10:20

국가유산청(청장 허민)과 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는김천 직지사에서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의 국보 지정과 문화유산 수장시설인 보장각의 완공 기념 행사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는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지난해 12월 국보로 지정된 조선 후기 후불도다. 중앙의 영산회상도,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 3폭으로 구성돼 있다. 현존 삼불회도 중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규모가 큰 작품으로, 세관(世冠)을 비롯해 신각(神覺), 밀기(密機) 등의 화승들이 1744년(조선 영조 20년) 완성해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했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불화로, 장대한 크기에 수많은 등장인물을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로 장중하게 그려냈다. 3폭 모두 사방 테두리 부분에 '조상경(造像經)'에 근거한 원형의 '범자문 진언'을 배치해 상징성을 부여한 점도 주목된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제공=국가유산청)

세 폭의 하단에는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의 정보가 담긴 화기가 있는데, 화승의 이름과 소속 사찰이 함께 기록되어 있어 직지사 화승 외에 인근 사찰의 화승들이 다수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고, 화승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고 국가유산청 측은 설명했다. 

약 4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된 직지사의 문화유산 수장시설인 보장각은 국보로 지정된 '석가여래삼불회도'를 비롯한 다양한 성보문화유산을 안전하게 보관·관리하고, 불교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연구하는 핵심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오늘 오후 4시부터 열리는 이번 행사는 허민 국가유산청장과 직지사 법성 회주스님, 장명 주지스님, 성보박물관장 진웅스님, 배낙호 김천시장 등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특히 이번 행사는 '석가여래삼불회도'가 보존처리를 마치고 처음 공개되는 자리로, 대웅전에서 국보 지정서를 전달한 후 보장각 현판 제막식으로 이어진다.

국가유산청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가 국보로 지정되었음을 널리 알리는 한편,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김천시, 직지사와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