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의 민낯을 직접 듣고 판을 새로 짠다.
기획재정부는 임기근 제2차관이 경기도 판교 리벨리온 본사에서 AI 반도체 기업들을 초청해 '인공지능-반도체 업계 쓴소리 간담회'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쓴소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업계의 날 선 비판이 쏟아졌다. 참석자들은 ▲국내 실증사업의 규모와 기간 한계 ▲과도한 현금 부담과 지식재산권(IP) 제약 ▲대규모 자금 조달의 어려움 등을 토로했다.

또 세계적 수준의 지식재산(IP)과 설계 도구 접근이 어렵고 중소기업에겐 최적화 소프트웨어 비용이 큰 부담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국가사업에서 국산 반도체 도입 의무가 빠진 사례도 문제로 제기됐다.
이에 임 차관은 오는 2027년 이후를 대비한 민관합동 공동정책개발 연구 추진을 제안하며 정면 돌파에 나섰다. 국산 AI 반도체 성능 향상과 세계적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시점에 맞춰 중장기 과제를 발굴하겠다는 구상이다.
관련기사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UAE 최대 자유무역지구와 맞손…K-AI 중동 진출 '청신호'2025.09.11
- 공공 AI 미래 청사진 나왔다…오픈AI·LG CNS, '원칙과 현실' 해법 제시2025.08.05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인도네시아에 한-아세안 디지털 아카데미 개소2025.06.09
- NIPA, 공공기관 AI·SaaS 도입 지원…발주 역량 강화 초점2025.06.01
정부는 단기적으로 실증사업 개선과 지식재산권 규제 완화, 금융지원 강화 등 즉각적인 제도 보완에 착수한다. 중장기적으로는 공동정책연구 결과를 정책과 사업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더불어 국산 신경망 처리장치(NPU) 수요 창출과 실증 확대를 위해 내년 예산에 3천574억원을 반영했다. 이는 올해 1천754억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임기근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오늘 현장에서 제기된 비판은 정부 정책을 보완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자산"이라며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공동연구를 통해 장기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정책 신뢰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