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지원하는 국산 mRNA 백신이 연내 임상시험에 진입할지를 두고 관심이 쏠린다.
질병청은 현재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청은 지난 4월 수행 기관을 선정, 비임상과제를 진행 중이다. 올해 12월 임상시험 진입이 목표.
임승관 질병청장은 9일 “사업이 완료되면 새 감염병 팬데믹이 와도 100일∼200일 이내에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 글로벌 백신 경쟁에서 앞서 나갈 발판이 될 것”이라며 “개발 과정을 공개해 백신 효과성과 안전성에 대한 국내외 신뢰를 쌓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K-보건안보 이니셔티브’ 구축과 관련, 임 청장은 “한국형 감염병 대응 모델을 토대로 시스템, 기술,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전수하는 감염병 ODA를 확대해 글로벌 보건안보 사관학교의 역할을 할 것”이라며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백신 임상시험 효능평가 국제실험실네트워크 참여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mRNA 백신 개발’ 같은 국제 공동 백신 개발 협력 사업도 추진하겠다”라고 자신했다. 다.
이어 “백신 항원을 라이브러리화하고 유망 백신 후보물질은 관리 및 분양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질병청장 "AI로 질병‧건강정보 수집‧분석‧활용할 ”2025.09.09
- 독자 AI 프로젝트, K-AI 깃발 올렸다…10조 업고 G3 향해 출항2025.09.09
- 희비 갈린 뷰티 라이벌...아모레 ‘재정비’ 성공 vs LG생건 ‘중국 리스크’2025.09.09
- [르포] 獨 자동차 도시에 나타난 '전동화' 바람…IAA 2025 본격 개막2025.09.09
관련해 정부는 올해 경북 안동의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를 구축 중이다.
한편, 질병청은 이달 말 ‘제1차 손상관리 종합계획’을 9월 말 발표할 예정이다. 임 청장은 “5개년 계획을 통해 질병청은 ▲손상 예방 ▲발생 시 대응 ▲회복과 재활 등 각 부처에 흩어진 정책을 국민 건강 보호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