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석 국정원장 "사이버위협 국경 넘어 우리 모두 겨냥"

국정원 'CSK 2025' 코엑스서 개막..."민관 협력과 글로벌 연대 중요"

컴퓨팅입력 :2025/09/09 11:42    수정: 2025/09/09 14:45

"사이버 위협은 이미 국경을 넘어 우리 모두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은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사이버 서밋 코리아 2025'에서 이 같이 밝히며 날로 급증하는 국제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관과 글로벌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행사는 국가정보원(NI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가 공동으로 주최 및 주관했다. 작년에 처음 열렸고 올해가 두 번째다. 오는 11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작년보다 하루가 늘었다. 첫날 개막 행사에는 사이버보안 관련 민관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했다. 

이종석 원장은 지난 6월말 제 38대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됐다. 북한과 남북 관계에 대한 오랜 연구 경험을 갖춘 대북 전문가로, 노무현 정부 시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 통일부 장관, NSC 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날 개회사에서 이 원장은 "공식석상에 1년에 한번 딱 서는데 그 날이 바로 이날이다. '사이버서밋코리아 2025'에 참석해 주신 국내외 귀빈 여러분께 환영과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환영사를 시작했다.

 이 원장은 작년에 처음 시작한 '사이버서밋코리아(CSK)' 행사가 안전한 사이버 세상을 위해 국제사회와 민간의 협력을 이끌며 명실상부한 국제 사이버 안보 행사로 발전하고 있다고 짚으며 "우리는 지금 AI 대전환 시대, 디지털 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AI는 우리 사회와 산업 지형을 재편하고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는 국가 경제의 핵심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해석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이 9일 열린 '사이버 서밋 코리아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어 우리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설정하고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사이버 위협은 AI강국과 경제 번영을 향한 우리의 노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가배후 해킹 조직 등은 핵심 인프라가 된 사이버 공간을 더욱 다양하고 정교한 방식으로 공격하고 있다. 핵심 기반 시설 등에 대한 공격은 국가안보와 국민 안전까지도 크게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사이버 공간의 안전과 신뢰가 보장될 때 AI 발전 등 미래의 성장 동력을 지켜낼 수 있다고 역설했다.

특히 이 원장은 지금과 같은 초연결 사회에서 사이버 위협은 더 이상 한 국가만의 힘만으로 막을 수 없고, 공동 안보에 위협이 된 만큼 더 강력하고 실질적인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민관 협력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올해 행사 주제를 '글로벌 사이버 안보를 위한 협력과 신뢰 구축'이라고 정한 이유다. 

관련기사

이 원장은 민관이 적극 협력하고 여러 나라가 긴밀히 공조한다면,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면서 "올해는 작년보다 일정을 하루 늘렸고 그만큼 내실 있는 프로그램도 많이 준비했다"고 소개했다.

이 원장은 진화한 사이버 위협과 신기술 보안 문제, 사이버 안보 전략 등에 관한 컨퍼런스뿐 아니라 국제 사이버 훈련, 사이버 공격 방어 대회에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면서 "국정원은 앞으로도 유관기업 및 기업, 해외 정보 보안기관들과 유기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사이버 안보 수호에 최선을 다하겠다. 이번 행사가 서로의 역량과 경험을 공유하고 안전한 사이버 세상을 지키는 국제협력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