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내년 모니터용 QD-OLED 패널 생산량 대폭 늘린다

올해 대비 100만대 가량 확대 추진…시장 수요 선제 대응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5/09/09 15:23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모니터용 QD(퀀텀닷)-OLED 패널 출하량을 크게 늘릴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프리미엄 OLED 모니터 수요가 당초 예상 대비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다. 이에 맞춰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능력 확대도 추진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내년 QD-OLED 모니터 출하량을 올해 대비 100만대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24년형 모니터용 QD-OLED 신제품인 UHD 31.5형(좌)과, 360Hz QHD 27형(사진=삼성디스플레이)

QD는 수 나노미터(nm) 수준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다.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컬러필터를 거치면서 상당한 양의 빛이 손실되는 기존 디스플레이에 비해, 직접 색을 변환하고 표현하기 때문에 더 밝고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 QD-OLED를 지난 2021년부터 충남 아산캠퍼스 Q1 라인에서 양산해 왔다. TV·모니터 등 대형 패널이 핵심 적용처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는 QD-OLED 모니터 사업 확대에 집중하는 추세다. 최근 해당 패널의 출하량을 올해 250만~300만대 수준에서 내년 400만대로 100만대 가량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 측에서 OLED 모니터에 대한 수요가 예상 대비 견조한 것으로 보고, 내년 생산량을 적극적으로 늘리려는 것으로 안다"며 "관련 소재·부품 단에서도 대응을 준비 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3월 "모니터용 QD-OLED 출하량이 작년 실적인 143만대보다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높은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량을 늘리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전 세계 모니터용 OLED 패널 출하량은 2022년 16만대, 2023년 82만대, 2024년 200만대 등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 점유율이 71.2%에 달한다.

시장 성장세에 맞춰 생산능력도 지속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패널 생산능력은 8.5세대(2200 x 2500mm) 원장 기준 월 4만1천장 수준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신규 설비투자 대신 기존 공정의 효율화를 통해 이를 내년 4만 중후반대까지 끌어올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다만 QD-OLED TV 출하량은 올해 및 내년 모두 100만대 수준에서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현재 QD-OLED 모니터가 TV 대비 수익률이 상당히 높다"며 "삼성디스플레이가 향후 몇년간 TV용 패널 출하량을 고정하고, 대신 모니터용 패널 출하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