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위기에 흔들리는 지역 경제, 바이오 전환이 해법"

[K-바이오, 지역이 힘이다]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 李대통령에 지역 산업 체질 개선 제안

헬스케어입력 :2025/09/05 16:30    수정: 2025/09/05 17:04

지역 소멸 및 경제 활성화는 그 시급성을 고려할 때 근본적인 해법이 요구된다. 지디넷코리아는 바이오헬스가 위의 난제를 해결할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위기를 맞으며 이를 주력으로 하는 지역 경제가 타격을 맞자 바이오헬스 산업으로의 이른바 ‘체질 개선’이 해결책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5일 오후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바이오 혁신 토론회 자리에서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현재 전남, 울산, 서산 등지는 석유화학 분야의 심각한 구조조정에 직면해 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 (사진=KTV 캡처)

윤 원장은 “앞서 이 같은 위기는 유럽과 일본도 겪었지만, 유럽은 바이오 쪽으로 전환했다”라며 “지역에 위치한 석유화학 기업들도 바이오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에 종사하는 인원은 40만 명에 달한다. 만약 관련 기업이 부도나면 협력사 상당수가 문을 닫는 연쇄 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 윤 원장은 석유화학 종사자의 재취업은 바이오 분야가 적합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사진=KTV 캡처

윤 원장은 과거 석유화학 분야 기업에 재직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주력 업종을 바꾼 경험을 살려 이러한 전환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실직한 석유화학 분야 근로자들이 신속히 바이오 업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라며 “석유화학 분야 공정은 바이오와 매우 유사하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원장은 지역의 체질 전환을 위한 국가 지원 필요성도 강조했다. 윤 원장은 전남과 광주의 사례를 들어 해당 지역에 각각 석유와 철강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모두 위기 산업인 점을 “바이오헬스가 석유 및 철강 등 기존 산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주면 산업 및 인력 전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