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문가도 쉽게"…태블로가 AI로 데이터 분석 장벽 낮춘 비결은?

'태블로 데이터 페스트 2025'서 태블로 체험형 이벤트·라이브 대회 개최

컴퓨팅입력 :2025/08/27 18:57

태블로가 인공지능(AI) 기반 시각화·분석을 일상 속 주제로 풀어 ‘데이터 장벽’을 낮추겠다고 밝혔다. 비즈니스뿐 아니라 영화 등 친숙한 콘텐츠를 데이터로 해석한 사례를 통해 비전문가도 인사이트를 얻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태블로는 27일 서울 인터컨티넨탈 그랜드 파르나스에서 열린 ‘태블로 데이터 페스트 2025’에서 체험형 부스와 경진대회를 운영했다.

행사장에는 '태블로+무비' 부스가 마련됐다. 영화·감독·배우 등 대중적 주제를 데이터로 분석해 시각화한 전시로, 서울 태블로 유저 그룹이 생성형 AI로 제작한 프롬프트 대시보드 결과물로 이뤄졌다. 

행사장에는 '태블로+무비' 부스가 마련됐다.

일즈포스코리아 관계자는 "서울 태블로 유저 그룹 100개 팀이 부스 참여를 신청했다"며 "이 중 10개 팀을 선발해 전시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날 박찬욱·봉준호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분석한 대시보드가 참관객 눈길을 끌었다. 

봉준호 감독의 선호 장르과 작품별 관객 수, 스타일 변화 등을 데이터화한 대시보드.

해당 대시보드는 감독별 선호 장르와 작품별 관객 수, 시기별 스타일 변화에 따른 흥행 성과 등을 시각화한 형태다. 이를 통해 두 감독의 연출 성향, 배우 섭외 패턴, 대표 흥행작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비즈 게임즈' 개최…20분 만 데이터 대시보드 '뚝딱'

라이브 경진대회 '비즈 게임즈'가 진행 중이다. 20분 안에 태블로로 데이터를 분석해 대시보드를 구현해야 한다.

이날 전시 10개 팀 중 상위 3개 팀을 대상으로 라이브 경진대회 '비즈 게임즈'가 진행됐다. 주제가 주어지면 20분 안에 태블로로 데이터를 분석해 대시보드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올해 주제는 태블로 플랫폼으로 '영화 생태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우승팀은 현장 참관객 투표와 심사위원 점수를 합산해 선정됐다. 심사 기준은 데이터 분석 역량, 스토리의 흐름, 분석 타당성, 가독성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심사를 맡은 태블로코리아 김영균 사업 총괄은 "단순 데이터 나열을 넘어 결과를 이해·예측 가능하게 전달하는 스토리텔링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우승팀은 태블로로 해리포터 시리즈를 분석해 영화 흥행 이유를 도출했다.

우승은 '해리포터' 시리즈를 태블로 플랫폼으로 분석한 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시리즈별 해리포터 배우 대역 수를 비롯한 상영 시간, 관객 수, 스토리 구성 등을 데이터로 분석했다. 결과를 영화 콘셉트·장면·제작 요소와 연결해 스토리텔링을 완성했다. 이를 통해 해리포터가 그동안 큰 인기를 끈 이유를 도출했다. 

세일즈포스코리아는 "AI 분석·시각화를 생활 속 주제로 풀어내면 데이터 리터러시와 창의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며 "누구나 데이터를 읽고 이야기로 엮는 경험을 제공하는 데 방점 찍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