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 공원 나무보다 가뭄에 강했다…의외의 결과?

노후된 수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 때문

과학입력 :2025/08/26 16:23    수정: 2025/08/26 16:37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이 이어지며 시민들의 건강과 생활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길거리의 가로수가 공원 내 나무보다 가뭄에 더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IT매체 기가진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을 경우, 공원에서 자라는 나무는 가로수보다 수분 함량과 수액의 흐름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도심 속 가로수가 공원 나무보다 가뭄에 더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 연구진은 몬트리올 두 지역의 공원과 거리에서 유럽 단풍나무와 은단풍나무의 줄기 샘플을 채취해 납 동위원소 농도를 측정하고 줄기 나이테를 세어 나이 등 세부 정보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공원에서 자라는 나무에서 발견된 납 성분은 대개 대기 오염과 연관된 납 동위 원소인데 반해 가로수에서 발견된 납 성분은 납 수도관에서 나온 동위 원소가 포함돼 있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단풍나무 한 그루는 하루에 약 50리터(ℓ)의 물을 흡수하는데, 비가 내리지 않으면 물을 흡수할 곳이 마땅치 않은 공원 나무와 달리, 가로수는 가뭄에도 노후화된 수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로 인해 더 풍부한 수분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는 하루에 5억 리터의 물이 수도관에서 새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몬트리올 대학 앙드레 포이리에는 가로수가 공원의 나무들보다 수분 함유량이 높은 이유는 “가로수가 수도관으로부터의 누수를 흡수하고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 달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골드슈미트 국제회의에 참석해 해당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좋은 소식은 가로수를 계속 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무가 있으면 사람들은 행복해지며 공원에 심는 것보다 나무는 잘 살아남는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