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제균 시 골다공증 유병률이 2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헬리코박터 검사를 받은 성인 846명에 대해 2003년~2023년 기간에 추적 관찰했다. 제균 치료를 하지 않은 그룹의 골다공증 발생률은 34.5%였다.
반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성공적으로 제균한 그룹은 24.5% 수준에 그쳐 10%의 발생률 차이를 보였다. 약 29% 감소한 것.

이러한 예방 효과는 특히 여성에서 더욱 뚜렷했다. 50세 이상의 여성 환자에서 가장 효과가 높았다. 남성은 제균 치료 여부와 골다공증 발병률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 서식하며 만성 위염‧위궤양‧위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균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해당 세균에 대해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구강으로 전파되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보균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병률은 2017년 기준 16세 이상에서 44%에 달한다.
또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져 고관절 등 주요 관절이 쉽게 골절되는 질환이다. 노년층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2023년 기준 국내에서는 50세 이상 여성 3명 중 1명이 앓고 있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여성 대장암 절반 이상 ‘오른쪽’에서 발생한다2025.08.02
- [1분건강] 위암 검진 사각지대, 혈액검사로 찾을 수도2025.05.29
- [1분건강] 냉방병 두통에 진통제 복용? 습관 되면 위험하다2025.08.17
- [1분건강] 임산부, 태아 모두 위험한 임신중독증 무엇2025.08.16
김나영 교수는 “폐경기를 지나며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50세 이상 여성 환자에서 가장 예방 효과가 좋다”라며 “해당 연령대의 여성들은 적극 제균 치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Gut and Liver’에 온라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