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존비즈온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으로 소프트웨어 간 장벽을 허무는 '에이전트 생태계'를 지목하며 국내 디지털 전환(DX)이 이뤄지지 않은 현실을 지적했다. 정부의 근본적인 정책 변화 없이는 AI 산업 발전도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정동영 장관과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실은 13일 국회에서 '제10차 AI 3대강국(G3) 신기술 전략 조찬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대표는 AI 에이전트가 비서처럼 여러 업무를 대신 처리하는 미래를 시연하며 산업이 나아갈 방향과 현실적 걸림돌을 동시에 제시했다.
송 대표가 제시한 비전은 AI 에이전트 간의 소통을 통한 업무 자동화다. 사용자가 메신저 창에 자연어로 명령하면 '메타 에이전트'가 KTX 예약 에이전트, 전자결재 에이전트, 화상회의 에이전트 등과 알아서 소통하며 출장 예약부터 품의서 작성, 회의 일정 조율까지 한 번에 처리하는 식이다.

그는 이같은 업무 혁신이 먼 미래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AI를 적용할 산업 현장의 기반이 부재한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송 대표는 과기정통부 실태조사를 인용하며 "국내 기업의 약 80%가 디지털 전환을 이루지 못했고 특히 중소기업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부의 기존 지원 정책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그는 과거 중소기업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을 돕던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 사업이나 AI 바우처 사업 예산이 대폭 줄어든 점을 지적했다.
특히 AI 바우처 사업은 특정 수요-공급 기업 매칭에 그쳐 산업 전반의 DX 확산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송 대표는 AI 산업이 발전하려면 AI 기술을 사용할 '수요'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수요 없는 응답은 없다"며 "기존 업무 환경에 AI가 녹아들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을 다시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 [현장] 과기정통부·국회·법제연구원, 'AI 기본법' 맞손…'혁신·신뢰' 균형 찾는다2025.08.08
- 더존비즈온, 2분기 매출 1천59억 원…AI 실적 가시화2025.08.05
- '피지컬AI'에 명운 건 韓…국회 주도 '글로벌 동맹'의 청사진과 과제는2025.07.31
- [현장] 국회 손잡은 카이스트…'피지컬 AI'로 국가 미래 다시 쓴다2025.07.31
마지막으로 그는 인재 양성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했다. AI 기반 기술 교육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산업과 공공 현장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대표는 "실제 사용자를 위한 'AI 활용 교육'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