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7세 남성이 대상포진 치료 중 방광 파열 증상을 겪었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최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남성은 척추 기저부에 발생한 대상 포진으로 항바이러스제와 진통제를 투여 받아 치료하던 중 약 4일 간 배변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호흡곤란, 심한 복부 팽만과 통증을 호소하다가 병원에 입원했다.

응급실 의사들은 이 환자의 복부, 특히 위 아랫부분이 팽창돼 있고 복강 내 엄청난 체액이 축적된 것을 확인했다. 척추 아랫부분에는 대상포진으로 인한 피부 손상이 눈에 띄었다.
이후 의료진은 이 환자의 방광 벽에 구멍이 생긴 것을 확인해 수술을 시행했고 수술 중 방광 벽에 약 2cm의 파열이 발견됐다. 의사들은 "방광 수술과 항바이러스제 치료 후 환자의 방광 기능은 완전히 회복했다"고 밝혔다.

담당 의사는 "자연 방광 파열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극히 드문 비뇨기과적 응급 상황"이라고 밝혔다. 흔히 방광 파열은 만성 방광 감염, 방광 폐색 등으로 발생되는데 이번 사례는 대상포진으로 인해 발생해 주목된다.
관련기사
- 尹, 대상포진 백신 무료접종 대선 공약 공염불로 끝나나2024.09.19
- "음료수 병 열기만 해도 미세 플라스틱 범벅"2025.07.03
- "모기 걱정 그만"…위치 추적해 박멸하는 모기 추적기 화제2025.07.03
- 치즈 먹고 자면 악몽 꾼다?...근거 있을까2025.07.02
대상포진의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는 소변이 나오지 않는 ‘요폐’(urinary retention)다. 대상포진 환자의 약 4% 가량에서 요폐가 발생하나, 대상포진이 하부 척추나 천골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에서는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대상포진이 하부 척추에 발생하면 방광 배뇨에 관여하는 신경을 침범해 요폐가 발생하고, 방광이 과도해 팽창돼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이 환자의 경우 당뇨 병력이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당 매체들은 전했다. 당뇨병과 대상포진이 모두 신경질환의 원인이 돼 방광이 찼다는 것을 감지하는 능력을 저하시켜 요폐로 인한 방광 파열을 더 악화시켰을 것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