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문가 100명 의견 담아"…한국AGI위원회, AI 정책안 제시

공공·민간·과학·산업 등 7대 분야…"100조원 예산 확보 목표"

컴퓨팅입력 :2025/05/27 16:45

국내 위원회가 한국을 글로벌 인공지능(AI)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AI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7대 핵심 분야 정책안을 공개했다.

한국AGI실현위원회는 지난 5월 공식 출범 후 24개 부문위원회와 논의를 거쳐 이같은 정책안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AI 산학연 전문가 100명이 논의에 참여했다.

제안된 정책은 국가 AI 전략·기반, 정책·거버넌스·규제, 인력양성·직능혁신, 산업경쟁력·민생투자, 공공·사회적 활용, 안전·보안·신뢰성, AI 기반 미래혁신 기술 등 7대 분야로 나뉜다. 각 부문위원회는 분야별 문제점을 진단하고 구체 실행 목표와 로드맵을 마련했다.

위원회 로고. (사진=한국AGI실현위원회)

국가 AI 전략·기반 분야에서는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과 AI 하이브리드 클러스터 조성, 국가 데이터 주권 확립, AI-양자컴퓨팅 융합 전략 등이 포함됐다. 정책·거버넌스·규제 분야에서는 책임 있는 AI 윤리체계 마련과 AGI 시대에 맞는 유연한 법제도 마련 방안이 담겼다.

인력양성·직능혁신 분야는 해외 톱 연구자 유치, 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전국민 AI 리터러시 확산 전략을 제시했다. 산업경쟁력·민생투자 분야에는 제조AI 경쟁력 제고, 공사현장 지능형 감리, AGI 기반 스마트 농업·축산 혁신, AI 스타트업 금융 지원 등이 포함됐다.

공공·사회적 활용 분야에는 국제 정세 분석 및 정책결정 AI 시스템, 공공 에이전트AI 생태계 조성, K-헬스케어 혁신, 스마트시티 구현, 지역 AI 격차 해소 전략이 담겼다. 안전·보안·신뢰성 강화 분야는 국가 보안·안전관리 전략, 자율주행 신뢰성 확보 방안 등을 제안했다.

AI 기반 미래혁신 기술 분야에는 피지컬AI 강국 도약, AI 융합 미래건축 실증, AI 휴머노이드 법제 마련, 국가 핵심 인프라 지능화 전략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위원회는 100조원 규모 예산 확보 전략까지 포함해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 실행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위원회 관계자는 "제안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한국은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고 국민들은 AI 발전 혜택을 실질적으로 체감할 것"이라며 "대국민 공청회와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차기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