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삼립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사고 여파가 유통업계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햄버거 프랜차이즈에서는 버거 번(빵) 부족으로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으며 편의점에서는 SPC삼립 빵 발주가 중단되기도 했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버거킹 일부 매장에서 버거 메뉴가 일시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있다. 롱치킨버거와 브리오슈번을 사용한 버거는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와퍼번과 버거번이 품절돼 판매가 일부 중단됐다.
버거킹 관계자는 “전 매장에서 주문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재고와 번 수급 상황에 따라 일부 매장, 일부 메뉴에 한해 판매가 중단되기도 하고 있다”며 “고객들의 불편이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한 생산 중단 여파다. 지난 19일 오전 3시경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작업자가 기계 컨베이어 벨트에 상반신이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직후 SPC삼립은 작업 중단 및 중대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 안전 점검 실시를 위해 시화생산센터 생산을 중단했다. 해당 생산 중단 분야의 매출액은 4천300억3천821만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의 12.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SPC삼립 측은 “현재 전체 자체 생산 중단이며 고용노동부 작업중지 명령으로 8개 라인에 대한 생산중단 상태는 추후 변동 시 재공시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화공장 생산 중단으로 일부 햄버거 프랜차이즈는 햄버거 빵 공급이 불안정해졌다. SPC삼립은 롯데리아, KFC, 맘스터치 등에 빵을 공급하고 있다.

맘스터치는 지난 24일 하루 동안 12개 직영점의 배달 주문을 중단했다. 직영점이 보유하고 있던 물량을 가맹점으로 우선 전달했기 때문이다. 이튿날인 25일에는 직영점 배달 주문이 정상화됐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지난 23일 SPC로부터 공급이 어렵다는 내용을 전달받고 직영점 매출을 일부 포기하더라도 가맹점에게 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현재는 재고 물량 비축분을 줄이는 등 빵 공급 정상화를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진행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롯데리아의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그룹 내 식품 계열사인 롯데웰푸드와 그 외 중소기업으로 SPC삼립 공장 생산 물량을 분산시켜 유동적으로 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리아를 운영하는 롯데GRS 관계자는 “SPC삼립 발주량이 가장 높지만, 대부분 롯데웰푸드로 돌려 공급받고 있다”면서 “다만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업계에도 불똥이 튀었다. SPC삼립이 공급하던 빵 제품 공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GS25는 빵 30종, 간편식 10종, 육가공식품 10종 등 총 50종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 CU 역시 50여종이 발주 정지됐다. CU에서 판매하는 빵 제품은 약 200여종인데 이 중 4분의 1이 공급되지 않는 셈이다.
세븐일레븐도 KBO빵(크보빵) 등 40여종이 발주 중단됐고 이마트24도 정통크림빵·포켓몬빵·KBO빵 등 47종이 공급 중단됐다.
관련기사
- 버거킹 일부 매장서 햄버거 주문 불가능…"재료 공급 문제"2025.05.24
- 햄버거도 '금버거' 될라…롯데리아·노브랜드버거도 가격↑2025.03.28
- 허영인 SPC 회장, 대법서 무죄 확정…사업 탄력 받나2024.12.12
- 천만 관중 노리는 프로야구…유통가 협업도 활발2025.03.16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사고가 발생한 19일부터 상품 결품이 시작됐다”며 “다른 제조사 제품이나 비슷한 종류의 대체 상품을 더 많이 발주하라고 가맹점에 안내한 상태”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인기 상품인 KBO빵 같은 경우는 원래도 공급 물량이 많지 않았다”며 “대체 상품도 일단은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이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