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자율주행 기업 서울로보틱스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5일 밝혔다.
서울로보틱스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곳의 전문기술 평가기관으로부터 각각 A등급과 BBB등급을 획득했다.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기술평가기관 평가를 통해 일정 등급을 확보하면 상장예비심사 청구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다.

서울로보틱스는 이번 기술성 평가를 바탕으로 올해 코스닥 시장에 국내 1호 자율주행 기업으로서 상장에 나선다. 주관사인 삼성증권과 함께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서울로보틱스는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을 국내외 우수 인재 영입과 장기적인 R&D 투자에 적극 활용해, B2B 시장을 겨냥한 완전 자율주행(레벨 4~5) 기술과 다양한 자율 로봇 시스템 등 차세대 분야를 선제적으로 공략할 방침이다.
또한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서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및 물류 업체들과의 계약 확대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최근 다수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은 서울로보틱스의 독자 기술로 개발된 B2B 자율주행 솔루션인 '레벨5 컨트롤 타워' 도입을 위한 상용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레벨5 컨트롤 타워는 여러 대의 차량을 동시에 군집 자율주행시키는 데 더해, 악천후에서도 운전사와 안전관리자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관련기사
- 서울로보틱스, 구글 출신 기술총괄 임원 영입2025.03.26
- 서울로보틱스, 차량 원격제어 방법·서버 특허 등록2025.03.11
- 서울로보틱스, '브릿지 라운드' 투자 완료…기업가치 2800억원2024.12.03
- 서울로보틱스, '대한민국 기술대상'서 산업장관상2024.11.28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는 "서울로보틱스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고 사업 발전성까지 우수하다고 인정받은 결과"라며 "올 하반기 코스닥 상장을 통해 국내 자율주행 기술과 시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로보틱스의 기술은 현재 독일, 일본, 미국, 한국 등 다양한 국가에 도입되고 있으며, 해외 수출 실적도 보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