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발효한 상호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기로 하면서 애플 주가가 17% 급등했다고 CNBC 등 외신들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15.33% 오른 198.8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도 4천억 달러(약 581조원) 넘게 불어나 약 3조 달러(약 4천363조원)에 육박하면서 하루 전 마이크로소프트(MS)에 내줬던 시총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이날 애플 주가는 과거 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임시로 최고경영자(CEO)를 맡았던 1998년 1월 이후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그 무렵 애플은 아이팟을 처음 공개하기 3년 전으로 당시 시가총액은 30억 달러 수준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로 애플 주가는 큰 타격을 입었다. 한 때 애플 주가는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2000년 이후 최대 낙폭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애플이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부품 대부분을 아시아 등의 국가에서 공급받아 미국으로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관세 정책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이폰 등 하드웨어 제품 대부분은 여전히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이번 관세 유예 대상에서 중국은 제외되지 않았다. 트럼프는 9일 중국에 대한 관세를 54%에서 125%로 인상했다. 중국도 이번 주에 미국산 제품에 84% 관세를 부과했고 애플이 미중 무역 전쟁에 휘말려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 시장 점유율을 잃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노력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90일 유예로 인해 중국을 제외한 베트남, 인도 등에 대한 상호관세는 10%로 낮아졌다. 이로 인해 애플은 중국 외 공장에서 더 낮은 관세로 미국 고객들에게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생겼다고 CNBC는 전했다.
관련기사
- '관세 직격탄' 애플, 시총 1위 내줘…4일새 23%↓2025.04.09
- 트럼프, ‘아이폰도 美서 생산' 판단…가능할까?2025.04.09
- 차세대 iOS19 어떻게 나오나…루머 총정리2025.04.09
- "리액션 영상도 OK"…아이폰17 프로, 듀얼 영상 녹화 가능2025.04.09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발표하자 미국 증시는 급등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12% 이상 상승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팀 쿡 애플 CEO는 오는 5월 1일에 있을 실적 발표에서 이에 대해 입장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고 외신들은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