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다단계 막아라…QR코드 가짜인가 보세요"

'카카오톡'서 '보호나라' 채널 추가해 '큐싱' 선택 후 'QR코드 스캔'

컴퓨팅입력 :2025/03/31 11:00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31일 QR코드(Quick Response) 악성 여부를 알 수 있는 ‘큐싱 확인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가짜 앱을 깔게 한 뒤 QR코드를 만들어 지인에게 공유하면 포인트 준다고 꾀는 스미싱(Smishing) 기법이 유행해서다. 피해자가 나도 모르게 다단계에 빠질 수 있다.

스미싱은 미끼문자라는 뜻으로,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을 합한 말이다. 주·정차 위반 안내, 청첩장, 부고 등인 듯 꾸며 문자메시지에 쓰인 인터넷 주소를 누르거나 전화 걸게끔 속이는 경우가 많다.

김은성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스미싱대응팀장이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스미싱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사진=유혜진 기자)

김은성 KISA 스미싱대응팀장은 “국내 큐싱 피해는 아직 없다”면서도 “해외에서 유입될까 봐 걱정해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큐싱 확인 서비스를 쓰려면 ▲메신저 ‘카카오톡’에서 ‘보호나라’ 채널을 검색해 ▲보호나라 채널을 추가하고 ▲‘큐싱’을 선택한다. ‘QR코드 스캔’을 눌러 ▲QR코드를 찍으면 ▲정상인지, 악성인지 알려준다. KISA는 이후 경찰청에 연계해 이렇게 찾은 악성 QR코드를 없애고 있다.

관련기사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는 ‘악성 문자 엑스레이(X-ray)’도 도입하기로 했다. 사업자가 한꺼번에 보내는 문자메시지에 적힌 인터넷 주소가 악성인지 먼저 보고, 악성이면 문자를 못 보내게 한다.

아래는 KISA가 제안하는 스미싱 예방법.

  •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을 비롯한 사회관계망(SNS) 메시지에 적힌 인터넷 주소를 누르지 말라.
  • 공식 앱스토어에서만 앱 이름을 직접 검색해 설치하라.
  • 전화 연락으로 ‘앱을 깔라’는 말은 사실상 100% 사기, 바로 전화 끊어라.
  • 스마트폰 앱을 자주 업데이트하라.
  • 모바일 백신 하나쯤은 반드시 설치하라.
  • 모르는 사람을 SNS ‘친구’로 등록하지 말라. 친구 아닌 사람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때 사기가 의심되면 ‘신고’ 버튼이 나오지만, 친구와 대화하면 신고 버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