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환경오염 지속 적발에도 투자 소홀" 논란

작년 충당부채 390억원…"연 1천억원" 대비 적어

디지털경제입력 :2025/03/26 15:55    수정: 2025/03/26 18:04

영풍이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환경개선에 투자한다고 했지만, 환경개선 투자금을 미리 비용으로 설정하는 환경개선 충당부채 적립액은 지난해 390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충당부채를 쌓아두고 실제 집행이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쓴 금액은 작년 386억원, 연 평균으로는 287억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영풍이 환경개선 충당부채로 쌓은 금액은 390억원으로 전년 대비 54.2% 줄었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오염물질 반출을 염두에 두고 충당부채를 늘린 규모가 349억원을 기록했다. 토지정화 충당부채 증가분이 4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주변 하천 복구 목적의 충당부채 적립액은 9천76만원이었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영풍 본사 전경. (사진=영풍)

지하수 정화 충당부채 증가액은 없었다. 이에 대해 낙동강에 카드뮴을 유출한 사실이 적발돼 28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수질 오염으로 물의를 빚었음에도 이해되지 않는 행보라는 평가도 나온다. 

영풍은 지난해 3분기 실적 발표 당시 적자 원인으로 환경개선 사업을 지목하면서 “2021년부터 약 7천억원 규모의 환경개선 혁신 계획을 수립해 매년 1천억원 이상 환경개선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충당부채만 보면 발표한 금액과 차이가 난다. 지난 2020년부터 영풍은 토지 정화, 주변하천 복구, 오염물질 반출, 지하수 정화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부채로 쌓기 시작했다. 연간 환경개선 충당부채 적립액은 ▲2020년 609억원 ▲2021년 806억원 ▲2022년 1천36억원 ▲2023년 853억원 ▲2024년 390억원으로 합산하면 총 3천694억원, 연 평균 739억원이다.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논란도 있다. 일반적으로 정화, 복구 등에 자금을 투입한 경우 재무제표상 충당부채 사용(환입)으로 인식한다. 

영풍은 첫 환경개선 충당부채 설정 이듬해인 2021년부터 사용에 나섰다. 지난해의 경우 토지정화 충당부채 249억원, 반출 충당부채 123억원, 지하수 정화 충당부채 14억원 등 386억원을 사용했다. 최근 4년간 누적으로 쓴 금액이 1천148억원으로 평균 287억원에 그쳤다.

이에 영풍은 "충당금으로 설정한 비용 외에도 투자 및 비용, 운영비 등을 통해 약 1천억원을 환경개선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존 구축 설비인 무방류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도 투자금으로 분류한 점은 타당치 않다는 의견도 있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영풍은 억울해할 게 아니라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왜 적게 쌓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면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영풍 측은 "충당부채는 실제 사용한 비용이 아니라 향후 발생할 비용을 현재 시점에서 추정해 회계상 반영한 항목일 뿐이며, 이를 환경 개선 투자 규모로 단정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라며 "영풍은 2023년 1천125억원, 2024년 1천43억원을 집행하는 등 매년 1천억원 안팎을 환경 개선에 투자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