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페인트 기업 노루페인트가 이차전지 소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국내 페인트 업계가 기존 도료 시장 성장 둔화를 극복하고자 이차전지 분야 소재 및 부품 개발과 생산에 주력하며 새로운 수익 창출을 모색하고 있다.
노루페인트는 최근 이차전지와 수소에너지 첨단 신소재 양산을 확대하는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지금까지 양산에 성공한 소재는 내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셀 사이 공간을 메워주는 난연 ‘배터리용 몰딩제’와 고온 고습 환경에서 배터리 셀의 부식을 방지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우레탄 난연폼’ 등 6종이다.
지난해 노루페인트는 '인터배터리 2024'에 참가하며 ‘에너지 테크 솔루션’을 주제로 배터리 화재 위험을 줄여주는 기능성 이차전지 배터리 소재(13종)와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3종)를 전시회에서 공개했다.
이후 다양한 기업들과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새로운 거래처를 확보하며, 신규 고객사와의 계약 체결 등 다양한 성과를 얻었다.
인터배터리 전시회 이후, 노루페인트의 첨단 신소재 부문 매출액은 전년 대비 78.5%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올해 해당 부문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매출이 전년 대비 123.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시회 이전인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400%나 성장한 수치다.
관련기사
- 캐즘 극복하자...인터배터리, 규모도 방문객도 역대 최다2025.03.06
- ‘인터배터리 2025’ 개막…역대 최대 688개 기업 참여2025.03.05
- 롯데화학군, '인터배터리' 참가…배터리 4대 소재 기술 공개2025.03.04
- 고려아연, 인터배터리서 '니켈·전구체·전해동박' 기술력 알린다2025.03.04
노루페인트는 2011년부터 전자 소재와 관련된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2018년부터는 배터리와 수소를 접목해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에 선보인 일반 접착제와 달리 각 용도에 맞게 최적의 비율로 원료를 배합해 기능성을 높여 시장에서 큰 관심을 얻었다. 노루페인트가 출시한 16종의 소재는 언제든지 고객 요청이 있으면 납품할 수 있는 상황이다.
노루페인트 관계자는 “노루페인트 연구소는 80년간 축적한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방산, 실리콘, 친환경 바이오 등 핵심소재 영역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첨단 신소재 양산화 성공을 계기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통해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뉴이코노미 제품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