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AI 슈퍼컴, 도약할까"…정부, AI컴퓨팅 인프라 논의의 장 연다

국산 AI반도체·K-클라우드 실증 성과 공유…정부, 산업계 의견 청취

컴퓨팅입력 :2025/02/24 23: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AI컴퓨팅 인프라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을 연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오는 25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국가 AI컴퓨팅 인프라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AI 생태계 변화와 우리의 대응'을 주제로 AI컴퓨팅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과 향후 전망을 논의할 예정이다.

세미나는 AI컴퓨팅 분야 전문가들의 키노트 발표로 시작된다. 안정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AI컴퓨팅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과 국산 컴퓨팅 인프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 김동준 KAIST 교수가 AI 슈퍼컴퓨터의 상호연결 네트워크에 대해 발표하며 정혜동 정보통신기획평가원 AI 프로젝트 매니저가 '딥시크 충격' 등 글로벌 기술 변화와 향후 전망을 설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AI컴퓨팅 인프라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을 연다. (사진=IITP)

이후 AI컴퓨팅 실증 사례와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방향이 소개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산 AI반도체 기반 컴퓨팅 생태계와 K-클라우드 1단계 실증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중요성과 사업 추진 방향을 설명한다.

관련기사

전체 토론과 질의응답 역시 진행돼 업계 및 학계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유튜브 채널 '정통방통'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돼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연구자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급변하는 글로벌 AI 환경에서 국가 차원의 AI컴퓨팅 인프라 구축은 필수적"이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연구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발전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