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젊은 과학자들이 참여해 연구성과 평가 시스템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은 25일 ‘연구성과의 가치,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233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한다.
토론회에서는 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가 ‘연구성과 평가 방법의 진화와 한계’를 주제로 발표를 맡는다. 우수성·혁신성을 인정받을 평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학연 교수는 연구성과의 정량적 평가에 핵심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저널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와 논문의 피인용횟수 등 인용 기반 평가 방법의 현황과 한계를 분석한다.
관련기사
- 한림원, "부원장 직무정지 등 수습 총력"…경영진 3명 오늘 국감 증인 출석도2024.10.08
- 한림원, 왜 이러나…"간담회 핑계로 골프 회동, 회의비까지 지출"2024.09.09
- 한림원, 논란 18일만에 '이사회'열어 대책 논의2024.09.30
- [단독] 삼성전자, V10 낸드부터 中 YMTC 특허 쓴다2025.02.24
또 사회적 영향력 지표(altmetric), 인공지능(AI) 에이전트의 동료평가 등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평가 방법의 활용성과 효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지정토론에는 △이상규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위원 △김상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강봉균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 △김수영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김승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교수 △최태림 스위스 ETH 주리히(Zurich )교수 등이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