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후 3년 초과 7년 이내 기업이 돈을 못 벌어 ‘죽음의 계곡’에 빠지지 않도록 정부가 마중물을 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다음 달 13일까지 창업도약패키지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 ▲일반형 ▲대기업 협업형 ▲투자 병행형 가운데 1가지에 접수하면 된다.
올해 373개사를 뽑아 제품 개발 및 시제품 제작, 판로 개척 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투자 유치, 해외 진출 도움도 준다.

일반형에 뽑히면 시제품 제작, 지식재산권 취득, 사업 모델 개선에 드는 돈을 2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 이 중 예산 범위에서 추가로 ‘성공 환원형’을 신청하면 3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 사업화에 성공하면 추가 지원금의 절반까지 5년동안 반납해야 한다.
관련기사
- 중소기업, 트럼프 관세 힘들다면?…정부에 신고하세요2025.02.19
- 스타트업 기술 개발 후 사업화 어떻게?2025.02.18
- "납품단가연동제 뭔가요?"…중소기업 3분의1 모른다2025.02.17
- 빠르게 기술 변화…벤처 투자 동향은?2025.02.13
대기업 협업형에 선정되면 대기업 9개사로부터 제품 개발과 사업화, 해외 진출 요령을 배울 수 있다. LG전자, SK텔레콤, KT,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SK이노베이션, 현대건설, 포스코홀딩스, 교보생명이 참여한다. 사업화 자금은 2억원까지 주어진다.

투자 병행형은 사업화 자금을 2억원까지 받고, 한국벤처투자(KVIC)에서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으로 2억원을 더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