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자녀 눈 건강, 부모가 챙겨야 합니다

흔한 간헐외사시, 조기 치료 안하면 성인돼도 완치 어려워

헬스케어입력 :2025/02/18 09:33    수정: 2025/02/18 13:17

새 학기를 앞두고 자녀 눈 건강 관리가 요구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장기 아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안질환 중 하나인 사시는 지난 2020년 이후 진료 환자 수가 늘고 있다. 사시는 간헐외사시인데, 증상이 항상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서 부모의 관찰과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발견이 필요하다.

사시는 두 눈이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각각 다른 곳을 보는 질환이다. 다른 곳을 보는 눈이 어느 쪽으로 돌아가는지를 기준으로 사시가 구분된다. 다른 곳을 보는 눈이 코 방향인 안쪽으로 돌아가면 내사시, 귀 방향인 바깥쪽으로 돌아가면 외사시, 위나 아래로 돌아가면 수직사시다.

(사진=김안과병원)

사시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뇌 이상과 유전질환의 일부분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선천백내장이나 망막이나 시신경 이상 등으로 한쪽 눈의 시력이 좋지 않을 때도 사시가 발생할 수 있다.

심사평가원 공공데이터를 보면, 최근 4년간 10세 미만 사시 환자 수는 ▲2020년 8만3천589명 ▲2021년 9만201명 ▲2022년 8만9천833명 ▲2023년 9만2천831명이었다.

특히 간헐외사시는 동양권에서 흔하다. 2020년부터 작년까지 김안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가운데 10세 미만 사시 진료 건수의 약 61.4%가 간헐외사시 진료였다.

간헐외사시는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고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피곤하거나 졸릴 때, 아플 때, 멍하게 있을 때, 아침에 막 일어났을 때와 같이 집중도가 떨어질 때 한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밝은 곳에 나갔을 때 한쪽 눈을 찡그리는 증상 등이 나타나면 간헐외사시를 의심해야 한다.

아이들은 사시가 나타나도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선천백내장, 망막이나 시신경 이상 등 눈의 기질적인 이상으로 한쪽 눈의 시력이 좋지 않을 때도 처음에는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간헐사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사시가 의심된다면 반드시 안과에 내원하여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시기능이 완성되기 전 소아기에 발생한 사시는 어린 나이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시기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시기에 사시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해 양안시기능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손상된다면 나이가 들어서 사시를 치료하더라도 회복이 어렵다.

관련기사

백승희 김안과병원 사시&소아안과센터 전문의는 “아이들은 시력 이상이 있어도 본인이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 눈 건강에 관심을 두고 정기검진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라며 “사시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안과에 내원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영유아건강검진과 학교 검진 등 연령별 선별 검진에서 이상이 있다고 하면 안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