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난해 시정요구를 내린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이 전년 대비 3.2배 가량 늘어난 2만3천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심의위는 이를 두고 텔레그램과의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생성형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의 유통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적극 대응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zdnet.co.kr/2022/12/06/798d7575d01ae89c62478a791dfd457f.jpg)
전체 디지털성범죄정보에 대한 시정요구 건수도 9만4천185건으로 전년 대비 약 41% 증가했다.
방통심의위는 “생성형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유포와 불법촬영을 통한 아동청소년 성착취 사례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향후에도 다각적 조치를 통해 유사한 피해가 재발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방심위 "딥페이크 성범죄물 대책 발표 이후 시정요구 2.5배↑"2025.01.07
- 국민 10명 중 4명 "딥페이크 가짜뉴스 판별 어렵다”2024.12.09
- 법무법인 대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사이버범죄팀' 출범2024.11.19
- "딥페이크 식별 위해 AI 생성물 표시 의무 해야"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