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역대 정부 정책 사령탑을 역임한 경제 원로들이 모여 한국 경제의 위기 해법을 논의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2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한국 경제가 나아갈 길, 경제 원로에게 묻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마련한 이 자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국회의장,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가 참석했다.
최태원 회장은 모두발언에서 "무역전쟁, 인공지능(AI), 인플레이션에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경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의사 결정들이 모여져서 대격변기를 잘 헤쳐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고 또 혼란기에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 나라의 어른이신 원로들의 경험과 식견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고 중요하다 생각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열심히 듣고 공부해 기업이 실천해야 될 부분은 과감하게 시작하고, 힘을 함께 모아야 될 부분은 국회와 정부에 전달을 하고 협력해서 긍정적인 힘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제 원로들은 한국 경제가 위기를 맞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면서 정치적 불안 요인이 해소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 전 장관은 “트럼프의 등장으로 한국이 그간 수혜를 받아왔던 WTO 자유무역주의가 퇴조하는 상황이 만들어졌고, 여기에 정치·경제의 혼란까지 덮치며 우리 경제가 총체적 위기에 놓였다”며 “방위비 인상 압박, 북한과의 재협상, 중국과의 관계 등 한국이 답해야 할 시간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데, 정치안정 없이 경제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만큼 정국이 빠르게 안정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유 전 부총리도 "정치적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첫째도, 둘째도 안정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기업과 투자자, 소비자 등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안정을 뒷받침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리, 환율 등 거시경제 변수의 변동을 면밀히 살피고, 경제정책 운용에는 흔들림이 없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내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 원로들은 한국 경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의를 중심으로 민·관·정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부총리는 “최근 한국경제는 여러 기저질환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컨트롤하기에는 경제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져 민간주도의 신성장 전략으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최태원 "기업들, 경제 가치만 추구할 게 아니라 사회문제 해결 나서야"2025.02.11
- 최태원 "수출주도형 모델 한계...글로벌 경제연대로 대응해야"2025.01.19
- [신년사]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옛 것 뜯어고치고 새로운 것으로 바꿔야"2024.12.29
- "위기를 기회로" 재계 총수 한자리 모여 새해 의지 다져2025.01.03
이어 최근 경제현안 관련해 “환율과 금리 등 거시금융지표를 정상적으로 운용해야 하고, 서민 계층 등 취약부문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재정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 전 국회의장은 "대한민국 경쟁력은 기술, 인재, 창의적 콘텐츠, 그리고 배후의 제조업에서 창출되며, 민․관․정 협력으로 완성된다”며 “민간은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 상용화에 앞장서고, 정부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정치권은 산업정책 지원과 민생안정을 위한 법·제도 기반 확충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