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나, 지금의 내게 조언한다"…MIT 개발 AI 챗봇 ‘화제’

컴퓨팅입력 :2025/02/11 14:38    수정: 2025/02/11 16:33

미래의 나와 이야기를 나누며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인공지능(AI) 챗봇이 화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이 개발한 AI 챗봇 ‘퓨쳐유’(Future You)를 체험한 보고서를 최근 보도했다.

당초 '퓨처유'는 18~30세 미국인 수백 명을 대상으로 테스트가 진행됐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비스로 출시돼 190개국 6만 명이 사용 중이다.

30년 후의 내 자신과 얘기를 나눌 수 있는 AI 챗봇이 개발됐다. (사진=픽사베이)

퓨쳐유 챗봇을 사용하려면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한 뒤 인간관계, 직업적 상황, 목표, 지금까지의 이력 등 몇 가지 질문에 응답하면 된다. 그러면 AI가 미래 사용자의 프로필을 작성하고 오픈AI의 GPT-3.5 AI 모델에 연결해 미래의 내 자신을 만들어 낸다. 이후 미래의 내 자신과 얘기하며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사람들이 실제 미래의 내 자신과 대화해 볼 수 있다면, 더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원하는 미래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사진=MIT

WJS 하이디 미첼 기자는 챗봇에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하자 이가 빠져 있는 80세 아바타가 등장했다고 밝혔다. 이후 기본 정보, 성격, 인생의 중요한 사건 등을 입력한 후 지금으로부터 30년 후 80세가 된 자신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챗봇과의 대화에서 80세의 자신은 지금의 미첼에게 책을 쓰는 것에 대해 더 이상 미루지 말고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고, 60대에 암 진단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전했다. 이에 실제로 미첼은 집필 준비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고, 정기적인 건강검진 예약을 넣기도 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의하면, 퓨쳐유로 30분간 대화를 나누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미래 지향성이 강화돼 동기 부여가 향상됐으며,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에서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하지만, AI가 내놓는 예측에는 때로는 진부한 내용이나 카리브해에 비치하우스를 소유한다는 등 다소 현실적이지 않은 제안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미첼은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챗봇이 조언하는 전체적인 미래 예측은 자신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현재 자신의 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이 도구는 단순한 예언자가 아니라 보다 나은 미래를 생각하게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