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추가 정보가 나왔다.
IT매체 맥루머스는 6일(현지시간) IT 팁스터 주칸로스레브(@Jukanlosreve)를 인용해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상세 사양을 보도했다.
■ 폴더블 구조
![](https://image.zdnet.co.kr/2022/12/28/f182351371f70c548e08366a97f8bc32.jpg)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폴더블 아이폰은 ‘좌측 뒷면에 커다란 폴더블 메커니즘이 자리하고 책처럼 열리는 구조’를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IT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애플은 삼성전자 갤럭시Z 플립처럼 세로로 접히는 클림셸 형태의 폴더블폰을 개발 중이라고 보도해 이와 배치된다고 맥루머스는 전했다.
![](https://image.zdnet.co.kr/2024/05/13/2fa7336c09d8ba7f90177ea7c41a24eb.gif)
■ 크기·두께
폴더블 아이폰의 내부 디스플레이는 6.1인치 아이폰 두 개를 겹쳐놓은 크기로 "전체 크기가 12인치가 넘을 것"이라고 해당 팁스터는 전했다. 또 애플의 소형 폴더블 아이폰 개발은 많이 진전되지 않았으며, 대형 폴더블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애플이 대형 폴더블 아이패드와 유사한 기기를 개발 중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그 동안 알려져 있던 클림셸 형태의 폴더블 아이폰과는 다른 제품이라고 맥루머스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폴더블 아이폰을 펼치면 두께가 4.6mm, 접었을 때 9.2mm로 알려져 두께가 매우 얇은 편이다.
![](https://image.zdnet.co.kr/2024/05/08/16e76254e88ce0b165dcfd9151295209.jpg)
6년 동안 폴더블폰을 만들어온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드는 화면을 펼쳤을 때 두께가 5.6mm다. 애플이 지금까지 선보였던 제품 중 가장 슬림한 기기는 5.1mm 아이패드 프로이며, 여기에는 힌지 메커니즘도 없었기 때문에 폴더블 아이폰이 4.6mm의 두께를 지닌다면 놀라운 소식이다.
■ 카메라·배터리
폴더블 아이폰은 메타렌즈 기술을 사용한 초박형 전면 카메라를 탑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해당 기술은 아이폰17 라인업에 적용될 것이라는 소문도 있었으나, 최근 소식에 따르면 아이폰17 탑재는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또, 메인 카메라와 초광각 카메라의 듀얼 렌즈 후면 카메라가 탑재될 예정이며 배터리의 경우 용량 5천mAh인 두 개의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스 배터리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 출시일
관련기사
- 폴더블 아이폰, 크기 이렇게 나온다2025.01.07
- 폴더블 아이폰 언제·어떻게 나오나…루머 총정리2024.12.30
- 세계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 출시 '임박’…폴더블폰 경쟁 격화2025.02.06
-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사 선정 임박"2025.02.01
폴더블 아이폰은 내년 가을 경 출시될 예정이다. 이는 그 동안 애플 전문 분석가 궈밍치 등 다양한 전망가의 분석과 일치한다. 그 동안 시장 분석가, IT매체들은 폴더블 아이폰이 2026년 말이나 2027년 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맥루머스는 이번 전망에 대해 그 동안 나왔던 폴더블 아이폰 관련 소식과 배치되는 부분들이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