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주 장관 "딥시크, AI활용 중기엔 기회"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센터장,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등 전문가들과 대응 방안 논의

중기/스타트업입력 :2025/02/05 21:48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5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오영주 장관과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스타트업과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신 AI 개발 동향점검 및 활용·확산방안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AI기술 도입과 활용은 중소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지원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엔진 역할을 하고 있어, 향후 AI 활용 여부가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상황”이라며, “딥시크가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줬지만 AI를 활용하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게는 기회로 작용하며, 정부도 AI 활용을 확산할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함으로써 AI 기업과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다시 기업들의 혁신으로 이어지는 AI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해 기존의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요하다는 기존 AI 모델 개발 시각을 파괴하면서 글로벌 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 이에 대응해 우리 스타트업·중소기업의 나아갈 방향과 정부의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글로벌 AI개발 동향점검 및 대응방안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기부는 지난해 7월 ‘초격차 AI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제1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24.9)에서 발표한 ‘국가 AI 전략 정책방향’에서 2027년까지 AI 유니콘 5개사 및 제조 AI기업 육성과 ‘(가칭)중소기업 AI 활용·확산 촉진법’ 마련 등을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중기부는 이번 회의 역시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작년 대한상의가 시행한 'AI 활용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48.8%, 중견기업 30.1%, 중소기업 28.7%였다. 이번 회의에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센터장이 발제를 맡았고, 전세계 약 1억명이 가입한 수학 특화 AI모델인 콴다를 개발한 매스프레소 이용재 대표, 금융·법률·의료 등 산업별 AI 언어모델 솔루션 개발로 KT 등으로부터 1천억원대 투자유치에 성공한 업스테이지 이활석 CTO(최고기술임원)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발제를 담당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센터장은 “미국처럼 천문학적 투자가 아니라도 강력한 사고형 AI 개발 가능성을 딥시크가 보여줬다”며 “정부는 국가AI 데이터센터의 조속한 완공, AI+X* 전략을 통한 산업별 전문지식과 인공지능 추론 역량의 결합을 통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시기“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특히, 2025년 이후는 인공지능 발전 단계상 GPU, 데이터센터 등 하드웨어 중심의 1단계를 지나 AI스마트폰, AI에이전트 등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2∼3단계 진입이 예상되고 있어, 미래 AI 진화 분야에서 스타트업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전략도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즉1단계 인프라(GPU, 데이터센터, 전력, 클라우드) → 2단계(Edge,  AI스마트폰/PC) → 3단계(applications : 개인비서, 자동 Agents) → 4단계(Physical : 자율주행, 휴모노이드)로 진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