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를 맞아 부모님의 근감소증(Sarcopenia)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근감소증은 근육의 감소를 넘어 신체 활동성과 독립적인 생활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근감소증은 노화로 인한 근육량과 근력의 감소 상태를 의미한다. 근육량은 일반적으로 30대 후반부터 줄기 시작하며 50대 이후 매년 1%~2%씩 감소하고 70대에는 감소 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신체 기능 저하와 삶의 질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근감소증 환자는 걸음걸이가 느려지고 근지구력이 약해져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워지며, 다른 사람의 도움을 자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또 골다공증·낙상·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며 근육의 혈액 순환과 호르몬 조절 기능이 약화해 기초대사량 감소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만성질환 관리가 어려워지고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근감소증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운동 부족과 영양결핍은 근감소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노화로 인한 호르몬 변화와 단백질 합성 능력 저하, 신체 활동 부족, 불균형한 영양 섭취 등이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감염병·암 등 같은 급만성 질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근감소증은 여러 질환의 경과와 회복, 관리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근감소증의 자가 진단법으로는 걷기 속도 측정, 악력 측정,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기 테스트 등이 있다. 일단 4m를 걷는 데 5초 이상 걸리면 근감소증을 의심할 수 있다. 악력을 측정해 남성의 경우 26kg, 여성의 경우 18kg 미만일 때 근감소증 위험이 크다.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를 30초 동안 10회 이상 하지 못한다면 근감소증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근감소증은 적절 예방과 관리로 발생 시기를 늦추고 극복할 수 있다. 의학적으로는 원인이 될 만한 약물 복용 여부, 질환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골다공증, 낙상, 연하장애 등도 함께 관리해야 한다.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요구된다. 운동은 근육량과 근력을 유지하고 낙상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저항 운동과 유산소운동, 균형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양 관리도 필요하다. 근육 생성을 위해 단백질을 필수로 섭취해야 하며 체중 1kg당 최소 1.2~1.5g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매 끼니 고기·생선·두부·달걀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고, 필요시 단백질 보충제도 먹자.
최근 노년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산양 단백질은 소화가 잘되고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적어 노년층에게 적합한 단백질 보충제로 평가받고 있다. 콩·퀴노아·견과류 등 식물 단백질도 아미노산이 풍부해 근육 생성에 유익하다. 비타민D·칼슘·마그네슘 등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보충제를 복용해 근육과 뼈 건강을 유지하고 탈수 방지를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암환자가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하는 이유2025.01.16
- [1분건강] 혼란스런 국내 정세에 건강 악화된 국민들2025.01.15
- [1분건강] 유방암 분비 miRNA로 진단 정확도 향상 기대2025.01.14
- [1분건강] 일상생활 어려울 정도 통증 ‘복잡치루’2025.01.14
수면은 신체 회복과 근육 생성에 매우 중요하다. 하루 7~8시간 정도 충분히 자고,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자. 취미 생활이나 지역사회 활동 등에 참여해 활발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정신 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박영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근감소증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예방과 관리로 충분히 발생 시기를 늦추고 극복할 수 있다”라며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한다면 근감소증을 예방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