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유통, 새해엔 '몽골' 진출 더 활발해진다

[2025 전망 ⑲끝 유통] 한류-현지화 무기로 인기 누려

유통입력 :2024/12/31 15:17

한국 경제가 대통령 탄핵정국과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을사년 새해를 맞게 됐습니다. 비상 계엄 해제 이후에도 환율과 증시가 출렁이는 불확실성 속에 우리 기업들이 새해 사업과 투자 전략을 짜기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정책 혼돈과 시시각각 변화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지디넷코리아가 각 산업 분야별 새해 전망을 준비했습니다. [편집자주]

우리 유통기업들의 몽골 현지 진출이 새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몽골은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다수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 유통망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대표적으로 편의점 체인 CU는 지난달 기준 현지에 432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GS25는 266개의 점포를 냈다. 코트라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양사의 몽골 시장 점유율은 83% 수준으로 나타났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 관계자는 몽골 시장에 대해 "국내 시장과 여러 모로 비슷하다"며 "수도인 울란바토르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돼 있어 편의점 시장이 발달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의 몽골시장 공략 무기로는 현지화와 K-푸드가 꼽힌다. 삼각김밥과 라면 등 국내 제품과 함께 보즈와 효쇼르 같은 현지 음식을 상품화해 판매하는 식이다. 여기에 현지 사정에 맞춰 점포에 현대식 화장실을 구비하는 등 전략을 펴고 있다.

몽골 울란바토르의 아파트 단지 전경.(사진=유튜브 화면 캡처)

편의점의 인기에 힘입어 대형마트와 외식 프랜차이즈 등이 몽골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마트는 20일 울란바토르에 몽골 5호점을 열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지난해 11월 현지에 식품 가공 공장을 세우는 등의 전략을 펴고 있다. 회사의 몽골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고, 올해는 약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식 프랜차이즈도 현지에서 유망할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이다. 코트라에 따르면 몽골에는 젊은 층 인구 비중이 높아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치킨 등 신규 프랜차이즈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몽골에는 현재 피자헛과 KFC 등 외국계 프랜차이즈가 진출해 있고, 국내 기업의 경우 롯데리아와 맘스터치 등이 매장을 냈으나 아직 본격적으로 진출한 기업은 없는 상황이다.

맘스터치는 지난 8월 울란바토르에 현지 7호점을 열었고, 내년까지 2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현지 GDP는 국내의 15% 수준이지만 월평균 매출은 국내를 넘어설 정도로 반응이 뜨겁다. 롯데리아는 5개의 매장을 현지에 보유하고 있으며, 육류를 선호하는 현지 식습관에 맞춘 메뉴를 출시한 것이 특징이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기존 6개 매장의 최근 3개월 매출이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며 “몽골 내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올라 매장 매출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비력 강한 몽골 시장이지만, 물류비용 부담도 

울란바토르무역관에 따르면 몽골 시장의 특징은 ‘과감한 소비 성향’이다. 오랫동안 유목 생활을 해온 특성상 저축이라는 개념이 일상화되지 않았고, 과시적 소비가 보편화돼 있다. 

무역관은 “현지 근로자의 월 급여 수준은 한화 70만원~100만원 정도지만, 소비 수준은 한국인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오프라인 위주의 사업만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브랜드나 상품, 서비스 등에 거부감이 없어 기업이 신규 진출하기에 유리한 환경이다. 현지에서는 러시아와 중국에서 생산되는 상품이 유행했으며 현재는 국내 기업 제품도 어느 정도 선호도를 갖추고 있다고 무역관은 전했다.

수도 울란바토르에 350만 인구 중 절반이 집중돼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수도 외에도 다르항이나 에르데느트 등 도시가 있으나 인구는 10만 명을 맴도는 수준으로, 현지 진출을 위해서는 울란바토르에 집중 공략이 필요하다.

내륙국이라는 특성상 물류비용 역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현재는 국내에서 중국 톈진 항으로 상품을 보내고, 여기에서 다시 울란바토르로 육로를 통해 복합 운송되는 절차를 거친다. 거리 대비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무역관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몽골을 통해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할 기회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은 장점으로 꼽힌다. 실제로 CU는 몽골 시장에서의 성공 모델을 바탕으로 지난 3월 카자흐스탄 1호점을 개점했으며,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등 타 국가로의 진출 가능성도 있다.

무역관은 “인구 350만 명의 작은 시장이라는 점이 한계지만, 어떤 국가보다 국내 제품과 라이프스타일이 친숙하다는 점이 기회 요인”이라며 “특히 한몽 EPA(경제 동반자 협정)등 기회 요인이 있어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