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K-라면에 대한 수입 규제를 완화하면서 오뚜기가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할랄 인증까지 획득하는 등 본격적인 채비에 나서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의 해법이 될지 주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한국산 라면 등 즉석면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에틸렌옥사이드(EO) 관련 시험·검사성적서 요구 조치가 해제됐다. EO는 농산물 등의 훈증제, 살균제로 사용되며 미국·캐나다 등 일부 국가는 잔류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2022년 10월부터 한국산 라면에 대해 수출 시마다 EO 시험·검사성적서 제출을 요구해 왔다.
라면업계는 이번 인도네시아 수출 규제 완화를 환영하고 나섰다. 이미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해 있던 삼양식품은 식약처의 규제외교 덕에 인도네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농심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신라면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신세이셔널 데이' 행사를 진행하는 등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오뚜기 역시 이달 초 무이(MUI·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기관) 인증을 획득하면서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나서기로 했다. 총 11종의 라면에 대해 할랄 인증을 받았고 내년 초 진라면 현지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오뚜기는 라면 3사 중 마지막 주자로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앞서 삼양식품은 지난 2017년에, 농심은 2019년에 각각 무이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무이 인증은 세계 3대 할랄 인증기관으로 공신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이 오뚜기의 약점으로 꼽혔던 해외 매출 비중 확대의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즉석면류 시장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이기 때문이다. 국제즉석면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네시아 즉석면 소비량은 145억개로 전 세계 소비량의 15%를 차지했다.
오뚜기는 라면 3사 중 국내 매출 비중이 높은 편이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3조4천545억원) 중 해외 매출은 3천325억원으로 전체의 9.6%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올해 1~3분기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8%(2천591억원)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겨우 0.2%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농심·삼양식품과 비교하면 차이는 두드러진다. 올해 1~3분기 농심의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 비중은 37%, 삼양식품은 77%다.
오뚜기가 올해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를 목표로 내걸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대 이하의 성과라는 평가다. 오뚜기는 지난해 말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 글로벌사업부를 글로벌사업본부로 격상했다. 본부장으로는 함영준 오뚜기 회장의 사돈인 김경호 전 LG전자 부사장을 영입했다.
지난 8월에는 영문 표기를 ’OTTOGI’에서 ‘OTOKI’로 바꾸고 상표권을 출원했다. 외국인 소비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게 표기를 바꿔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겠다는 것이 영문 표기 변경의 이유다. 영문 표기와 함께 오뚜기의 심볼마크 디자인도 함께 변경했다.
오너 3세도 글로벌 공략에 힘을 싣고 있다. 함영준 회장의 장녀 함연지 씨는 지난 5월부터 미국법인 ‘오뚜기아메리카’에 입사해 마케팅 업무를 맡고 있다.
다만 성과는 아직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뚜기 미국법인 매출은 630억원으로 전년 동기(813억원) 대비 22.5% 감소했다.
관련기사
- 삼양식품 "인도네시아 라면 규제 해제 환영"2024.12.03
- 오뚜기, 2분기 영업익 전년比 4.6% 감소 616억원2024.08.14
- K-라면 인기에 삼양식품·농심 웃고 오뚜기 울었다2024.08.12
- "위험하니 피해 계세요"…공사장 출동한 '로봇 신호수'2024.12.18
오뚜기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글로벌사업부를 본부로 격상해 인력을 늘리고 현장으로 지원을 나가는 등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 공략을 시작했다”며 “성과가 바로 나오기는 어렵고 내년에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할랄 인증도 라면에 대해서만 받았지만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받을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