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한 관절 질환인 ‘어깨충돌증후군’ 예방을 위해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중장년에 접어들면 근력이 약해져 관절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어깨는 허리나 무릎보다 관리가 소홀하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어깨 병변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44만6천860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50세 이상 69세 이하 환자 수는 60.4%나 됐다. 40대 환자도 12.6%로 30대의 3.4%보다 환자 수가 4배가량 많았다.
어깨 병변 중에서도 40대 이상이 주의해야 하는 질환은 반복 동작으로 인해 어깨 구조의 균형이 흐트러지며 발생하는 질환인 ‘어깨충돌증후군’이다. 해당 질환은 팔을 위아래로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과도하게 반복하면, 상완골 대결절과 견갑골 견봉이 부딪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때 관절 사이에 끼인 회전근개의 힘줄 및 견봉하 점액낭에 염증과 손상이 생기게 되면 어깨 관절의 바깥쪽 및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팔을 움직이거나 들어 올릴 때 뜨끔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팔을 전방으로 들거나 밖으로 뻗을 때도 통증이 심해진다. 누워있는 자세에서 통증을 느끼거나 야간통을 느끼기도 하고, 어깨 관절에서 ‘뚜두둑’ 거리는 염발음이 들리기도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주로 ▲팔을 위로 반복해 들어 올리는 동작 ▲ 어깨 근육 불균형 ▲퇴행성 변화로 인한 견봉하 골극 형성 ▲외상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영이나 배드민턴, 야구 등 팔을 위아래로 반복해 움직이는 운동을 무리해서 할 경우 관절의 기계적 충돌을 발생시키기 쉽다.
특히 오십견은 관절 가동 범위가 전반적으로 제한되는 질환이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가동 범위의 제한은 경미한 대신 30도~120도 사이로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유발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지만, 일종의 염증성 질환인데다 생활 속에서 어깨와 팔의 사용을 줄이기 힘든 만큼 자연 치유는 기대하기 어렵다. 방치하면 회전근개의 손상 및 파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비수술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만, 호전이 되지 않거나 재발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시 수술치료가 시행된다.
재발을 막으려면 치료 및 수술 후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바른 자세 유지는 물론 견갑골 주변 근육 운동, 관절가동 범위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등도 병행하는 것이 좋다.
김태정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과장은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관절 통증 및 중장년 이후 잘 발생한다는 특성 탓에 오십견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지만, 통증 및 치료법이 전혀 다른 질환”이라며 “생활 속 무리한 동작 반복 등으로 인한 염증과 손상이 주원인이 되는 증상인 만큼 제대로 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사무 작업 및 대형 차량 운전, 스마트폰 사용 등을 장시간 지속하면 경직된 자세로 인해 어깨의 ‘라운드 숄더’가 발생한다”라며 “이 상태에서 팔을 앞쪽으로 들어 올리고 작업을 진행하면 어깨 관절이 비정상적 위치에 놓이며 관절 내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치료 후 팔을 반복해 들어 올리는 원인 활동을 지속하면 재발의 우려가 있다”라며 “의식적으로 이를 주의하고,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