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근의 헤디트] 디지털 혁명 시대의 예술산업

예술과 기술, 산업의 융합으로 컬처노믹스 창출

전문가 칼럼입력 :2024/11/27 11:51

이창근 헤리티지랩 디렉터‧박사(Ph.D.)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 중요한 시대다. 아트&테크놀로지라고 불린다. 공공 재원 기반의 기관마다 지향하는 비전에 맞게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한다.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문화재단의 ‘언폴드엑스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중앙정부는 문체부 공공기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이 대표적이다.

2개 사업 모두 아티스트와 기업이 행사만을 위한 단편적 사업이 아니라 도전적이며 혁신적인 예술-기술 융합 창‧제작물을 공개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는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페스티벌에는 한 해 동안의 치열한 고민과 고도화 과정을 거쳐 탄생한 작품들이 성찬으로 펼쳐진다. 궁극적으로는 예술의 산업화를 위한 컬처노믹스(culture+economics) 실현이 목표다.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 앞 빌딩에 지난해 10월 아트코리아랩(Arts Korea Lab)이 개관했다. 예술을 실험하고 확산하는 예술 특화 종합지원 플랫폼으로, 아트&테크놀로지 콘텐츠의 창·제작부터 유통, 성장까지 예술-기술을 활용한 창업주기 전반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이창근 Media-Art 디렉터 & ICT 칼럼니스트

아트코리아랩은 우리 순수예술이 기초예술로 그치지 않고 실질적 예술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인큐베이터 기능이 핵심이다. 개관 이후, 그 성과물과 비전이 공유되는 시간으로 지난 19~23일까지 ‘2024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이 ‘미래풍경(FUTURESCAPE)’을 주제로 열렸다. 지난해 아트코리아랩이 개관하며 홍보 행사로서의 개관 페스티벌이 있었지만, 만 1년이 지난 가운데 열린 이번 행사가 제1회 페스티벌인 셈이다.

최해인 예술경영지원센터 아트코리아랩본부 예술기술팀장은 “아트코리아랩은 창·제작과 산업 영역의 확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이어왔다”며 “이번 페스티벌에서 지원사업을 통해 발굴된 다채로운 예술실험과 미래 예술산업을 견인할 사업 모델까지 새로운 모습으로 발현된 미래적 상상을 확장하는 시간으로 준비했다”고 기획의도를 전했다.

필자가 참관한 21일에는 피칭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예술-기술 융합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사업모델을 발굴하는 ‘피칭 어워즈’, 예술기업과 예술가가 각자의 비전을 소개해 다양한 협업 파트너를 만날 수 있는 ‘릴레이 피칭’을 통해 전문가, 파트너, 연구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이었다.

특히 ‘릴레이 피칭’은 예술기업들의 비즈니스모델 피칭을 통해 참가한 예술가(기업), 투자자, 업계 전문가 등 잠재적 파트너와의 협업 기회 및 네트워킹 확장을 도모했다. 예술가들은 다양한 랩에 참여하고 있는 수퍼루키들의 프로토타입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와 본인들의 영역 확장을 위해 새롭게 구축한 세계관을 소개했다.

기존의 예술산업 현장 여건은 예술-기술 융합과 창·제작 실험 등 트렌드의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아트코리아랩이 개관함으로써 예술가와 예술기업이 자유롭게 만나고 서로를 확장하는 공간으로 예술의 새로운 담론을 실험하는 장이 마련됐다. 무엇보다 예술을 시민들에게 문화 향유의 작품으로만 제공하는 게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예술산업으로 미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교두보로 그 의미가 크다.

이번 페스티벌에서 협업, 융합, 실험, 성장과 확장을 화두로 시시각각 새로운 형태로 변모하는 예술 생태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융합예술 현장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컨퍼런스부터 실험적 작품과 신기술이 조화를 이룬 쇼케이스, 예비창업자, 예술기업들의 아이디어 발표와 네트워킹이 이루어지는 오픈스튜디오·피칭까지 예술실험을 체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5일간 펼쳐졌다. 만질 수는 없지만 뚜렷이 느껴지는 ‘미래풍경’을 손에 담는 시간이자 예술산업 미래가치를 탐색할 수 있는 자리로 기획이 돋보였던 페스티벌이었다.

관련기사

빠르게 전환하는 기술 발전은 예술 현장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최근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이 더욱 와닿게 한다. 예술의 표현은 새로운 기술을 통해 전에 없던 방식들이 대두했고, 관객과 양방향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무대가 중요해졌다. 그럼에도 새로운 기술의 시대, 확장된 무대 위에 필요한 것은 예술가적 상상력임이 틀림없다. 디지털 혁명 시대의 예술산업 가치‧비전 거점으로 그 공작소가 아트코리아랩임을 발견했다.

*헤디트(He.Di.T) : 문화자원(Heritage) + 첨단기술(Digital) + 예술창작(Art) [편집자주]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창근 헤리티지랩 디렉터‧박사(Ph.D.)

예술경영학박사(Ph.D.). ICT 칼럼니스트이자 Media-Art 디렉터로 헤리티지랩 소장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이사,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이사를 겸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좋은빛위원, 세종특별자치시 경관위원, 제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회의 프로그램디렉터 등을 지냈다. 현재 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위원, 천안시 도시계획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 5월부터 ZDNET Korea의 칼럼니스트로 오피니언 ‘이창근의 헤디트’를 연재한다.
* 헤디트(HEDIT): 헤리티지(Heritage)+디지털(Digital)+아트(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