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는 만큼 가상자산의 미래에 대한 질문도 커지고 있다"
성균관대 임병화 교수는 두나무가 13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디지털 자산 컨퍼런스 D-CON에서 '가상자산 활용 사례와 경제적 효과' 발표를 진행하며 이와 같이 말했다.
이날 발표를 통해 임병화 교수는 가상자산의 경제적 효과와 활용 사례, 한계와 향후 전망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시했다.
임 교수는 먼저 가상자산의 정의와 세분화된 활용 분야를 설명하며 "미국 금융당국에서는 가상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분류하고 있다"며, "디지털 자산이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경제적 가치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이를 통해 가상자산의 핵심적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제용, 유틸리티, 증권용으로 가상자산을 구분하고 "비트코인이나 스테이블 코인 등은 주로 지급 결제에 활용되고, 이더리움 같은 유틸리티 토큰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그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시장은 매년 65% 이상의 성장을 예측하며, 이러한 성장세는 가상자산의 활용 사례가 늘어날수록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최근 글로벌 금융사들의 가상자산 산업 참여를 예로 들며 "골드만삭스와 JP모건, HSBC 같은 대형 금융사들은 가상자산 기반의 자산 관리와 트레이딩, 자산 보관 서비스를 통해 시장의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금융 기업들 역시 NFT와 메타버스 등을 활용하여 가상자산 기반의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국가마다 가상자산 활용 양상이 다르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임병화 교수는 "미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와 디파이 서비스가 고르게 사용되지만, 한국은 거래소 의존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글로벌 온체인 거래의 약 70%가 기관 투자자 비율을 차지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기관 투자자 참여가 현저히 낮다"며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제도적 개선 필요성을 을 언급했다.
임 교수는 가상자산과 블록체인이 아직까지는 접근이 어렵고 비용적 문제가 있어 실제 상용화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견해도 밝혔다.
관련기사
- 이석우 두나무 "국경 없는 가상자산...시야 넓혀 글로벌 바라봐야"2024.11.13
- 가상자산위원회 출범...업계 "규제 부담 여전"2024.11.11
- 업비트 UBCI 리포트...11월 첫째 주 가상자산 시장 '탐욕 상태' 진입2024.11.11
- 이복현 금감원장 "美 대선 이후 시장감시 강화...가상자산 불공정거래 무관용 조치"2024.11.08
임병화 교수는 "한국에서는 규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가상자산 활용에 제약이 있다"라며 가상자산을 통해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유인 효과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규제와 비용 부담이 여전히 장애가 되고 있다고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임 교수는 "가상자산은 이제 글로벌 무대에서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다"며, "국내 가상자산 산업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