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적 희비 갈린 네이버·카카오…성장 키워드는 'AI'

네이버 역대 최다 실적...카카오 콘텐츠 부문 부진으로 성장 주춤

인터넷입력 :2024/11/09 08:30    수정: 2024/11/09 13:21

올해 3분기 실적에서 네이버와 카카오가 다른 결과물을 내놓았다. 네이버는 전 사업에서 고르게 성장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플랫폼에서 성장했지만, 콘텐츠 부문이 부진하면서 전체적인 외형 키우기는 실패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향후 성장 전략으로 'AI'를 꼽았다. 네이버는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 의도, 맥락을 이해해 검색에 대한 답을 요약 제시하는 'AI Briefing(브리핑)' 기능과 AI 기반 맞춤 쇼핑 추천 기능을 고도화한 서비스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내년 중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내년 1분기 신규 AI 서비스 '카나나'의 이용자 대상 CBT를 진행하며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계획이다.

네이버, 역대 최다 실적...카카오, 플랫폼 덕에 한숨 돌려

네이버 카카오

네이버는 올해 3분기 매출액 2조7천156억원, 영업이익 5천25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1%, 4.0%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비용 효율화를 진행하며 인건비, 마케팅 비용 등을 관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카카오는 주춤한 실적을 내놓았다. 카카오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1조9천21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5% 증가한 1천305억원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하락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비해서는 선방했지만, 네이버와 비교하면 아쉬운 성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두 회사는 모두 플랫폼과 커머스 부문에서 성장세를 이뤘다. 다만 성장폭은 네이버가 컸다. 네이버의 서치 플랫폼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한 9천977억원으로 집계됐다. 커머스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7천25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늘어난 9천435억원으로 집계됐다. 커머스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 성장한 2천151억원이다. 네이버에 비하면 부진한 성장세다.

두 회사의 희비는 콘텐츠 부문에서 엇갈렸다. 네이버의 콘텐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6.4%, 전분기 대비 10.2% 증가한 4천628억 원을 기록했다. 일본 라인망가가 역대 최고 MAU와 유료이용자를 기록하며 유료 콘텐츠 매출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3분기 매출액은 9천7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특히 뮤직과 스토리 부문의 부진이 컸다. 뮤직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한 4천709억원, 스토리 부문 매출액은 같은 기간 12% 줄어든 2천187억원을 기록했다. 플랫폼 부문의 성장으로 전체 실적에서 콘텐츠 부문의 부진을 상쇄하기는 했지만, 콘텐츠 부문의 난항은 향후 카카오에게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평가가 나온다.

네이버·카카오 성장 키워드는 'AI'

네이버와 카카오는 실적 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AI를 내세웠다. 

네이버는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 의도, 맥락을 이해해 검색에 대한 답을 요약 제시하는 'AI Briefing(브리핑)' 기능을 모바일 통합 검색으로 확장해 검색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AI 기반 맞춤 쇼핑 추천 기능을 고도화한 서비스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내년 상반기 중 별도 앱으로 출시하며 커머스 분야의 성장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다.

카카오는 내년 1분기 신규 AI 서비스 '카나나'의 일반 이용자 대상 CBT를 진행하고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AI 대전'의 승자가 누가 될 지는 미지수다. 오픈AI의 챗GPT 등 빅테크 기업의 AI 서비스가 이미 다수 국내 이용자에게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차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네이버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바탕으로 B2C와 B2B 거래 공략을 병행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이용자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업 부문에 하이퍼클로바X 등 AI를 도입할 계획이다. 동시에 국내 기업의 AI 서비스가 한국어 처리에 능숙하다는 장점을 토대로 국내 기업과의 계약을 확대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이용자에게 익숙한 카카오톡의 장점을 계승하며 카나나를 B2C 위주로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달 22일 '이프카카오'에서 밝힌대로 카나나가 카카오톡과 별도 앱으로 출시될 경우 카카오톡의 장점 계승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