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선학회는 세계건선의날을 맞아 29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환자를 위한 새 건선 중증도와 치료 목표를 제시했다.
정혜정 국립의료원 피부과 교수는 두피·손톱·손·발바닥·성기 등 특수 부위 병변이 치료반응이 좋지 않은 점을 강조했다. 그는 “특수 부위 건선은 치료가 어렵고, 환자 일상 활동을 어렵게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방철환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교수는 최근 글로벌 중증 건선 기준이 중증도 점수의 개수를 감소하거나 조건을 완화하고 특수 부위의 건선을 포함하는 점, 치료 실패 경험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방 교수는 국내 건선 중증도 기준안을 ▲PASI 10점 이상 ▲PASI 5점 이상 10점 이하로 특수 부위 건선이 있을 시 등으로 개선됐다고 전했다.
그는 “새 건선 중등증이나 중증의 기준안은 기존 기준에 비해 중증도 점수의 개수를 감소하는 대신 환자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특수 부위의 건선을 포함했다”라며 “특수 부위의 침범 면적과 중등도를 명시해 중등증이나 중증의 건선 환자 비율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심한 고통을 받는 환자를 포함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 생물학적 제제나 건선 신약의 사용을 특수 부위 건선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라고 덧붙였다.
박은주 한림대성심병원 피부과 교수도 “학회에서 합의한 새로운 건선 중증도 기준안은 단순히 피부 질환이 아닌 환자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 특수성과 이해도를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새 기준안에 따라 건선 치료의 목표와 환자 치료계획 수립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국내 건선 환자는 0.5%~1% 가량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