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알뜰폰(MVNO) 5G 가입자가 채 40만명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 사업자가 LTE(4G) 서비스를 시작한지 3년 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던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수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MVNO 5G 회선수는 35만3천799개다. 알뜰폰은 지난 2019년 12월 187개의 회선을 시작으로 ▲2020년 12월 5천905개 ▲2021년 12월 5만2천815개 ▲2022년 12월 15만7천459개 ▲2023년 12월 26만4천231개 등으로 증가했다. 5G 서비스를 시작한지 5년이 지났음에도 채 40만명이 되지 못한 것이다.
이는 LTE(4G) 서비스 시작 때와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수치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2012년 LTE 서비스를 시작한 후 큰폭으로 성장세를 그려왔다. LTE 서비스 시작 3년만인 2015년에는 알뜰폰 가입자 수가 500만명을 돌파했다. 현재 알뜰폰 회선의 90%는 LTE가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알뜰폰의 5G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이유는 '요금제 경쟁력 부족'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알뜰폰 업계는 5G 망 도매대가가 너무 높아, 저렴한 5G 요금제를 만들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알뜰폰은 주로 이동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임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5G 도매대가 비용이 LTE에 비해 비싼 탓에 적합한 요금제 구성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 알뜰폰 시장 자율 모니터링에..."방통위가 직접 감시해야"2024.10.04
- 알뜰폰 41개사, 지속 발전 논의 위해 한자리 모여2024.09.27
- 알뜰폰 "아이폰16 자급제 손님 모십니다”2024.09.11
- 5G·LTE 알뜰폰 요금 내려갈까2024.08.05
그런 탓에 저렴한 가격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알뜰폰의 입장에서도 5G 보다는 가격 경쟁력이 높은 LTE 요금제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데 힘을 쓰고 있다. 이에 올해 7월 기준 전체 LTE 휴대폰 회선에서 알뜰폰이 차지하는 비중이 40.1%까지 증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알뜰폰의 주 고객층은 저렴한 요금제를 선호하는 편이다. 대부분 경제적 이유로 LTE 요금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며 "(알뜰폰 입장에서는)5G 서비스를 저가로 제공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이 크고, 수익을 창출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