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형 전동킥보드 사고 소식이 종종 사회 뉴스면에 오르면서, 전동킥보드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이 더욱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관련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스윙 측은 실제로는 전동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 관련 사고가 줄었고, 대학캠퍼스 내 사고도 킥보드가 아닌 자동차 사고가 대부분이라는 통계 데이터를 공개했다.
PM 기업 스윙은 지난 달 30일 9월호 ‘차를 위한 도시에서 사람을 위한 도시로’라는 제목의 소식지를 발송했다. 여기에서 회사는 킥보드·스쿠터·자동차·자전거 등의 이동수단 중 가장 위험해 보이는 이동수단에 대한 질문을 던진 뒤, 사실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절대적으로 많지만 현실은 킥보드·오토바이 등 다른 이동 수단들이 무자비한 규제 대상으로 여겨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양한 탈 것을 위한 도시 인프라가 갖춰지는 것이 시민들을 위한 정책임을 강조했다.
스윙은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 시스템의 2023년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PM 사망자 및 부상자 수가 전년 대비 7.7%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공유 PM 대수가 전년도 대비 20.8% 증가한 29만대인 것에 비해, 사망자·부상자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고 밝혔다. PM과 보행자 간 사고 건수도 4% 줄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회사는 “PM에 대한 안전 의식 수준이 차츰 나아지고 볼 수 있다”면서 “서비스가 확대되고 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시민들은 삶의 질을 높이며 (PM을)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익혀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는 개인 이동수단 인프라를 구축해 의식 발전에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윙은 킥보드를 검색했을 때 ‘애물단지’, ‘시한폭탄’, ‘골칫덩이’와 같은 단어들이 나온다면서 킥라니·도로위 무법자 등 킥보드 이용자들을 부르는 별칭도 곱지 않은 시선이 대부분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도로 위 규정을 지키지 않으며 보행자를 위협하는 이용자를 비판할 순 있지만, 더 나은 도시로의 공존을 위해 좋은 규제와 마땅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일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PM 전용 도로 마련, 개인형 이동수단 주차구역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스윙은 또 학내에서 가장 경계하고 규제하고 하는 이동 수단이 킥보드라면서, 대학 캠퍼스 내 교통사고는 사실 직원이나 외부 방문객에 의한 자동차 사고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발표한 ‘대학캠퍼스 교통사고 위험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고 발생 운전자의 연령은 20대가 17.3%, 30대 이상의 운전자가 약 80% 나타났다. 스윙은 "학교별로 보면 서울대학교에서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면서 "전동킥보드 사고는 서비스 시작부터 3년 간 교내에서 단 3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교는 학생들의 편의를 우선으로 하고, 학내 도로 안전 규칙을 세우는 기본부터 다져야 한다는 것이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연구원의 의견"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스윙은 19세기에는 자전거를 타면 부도덕한 것으로 여기고, 특히 여성이 자전거를 타기 시작하면서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바지를 입고 보호자 없이 이동하는 것을 문제 삼았던 과거의 사례를 빗대 현재 공유킥보드에 대한 과도한 규제와 부정적인 시각들을 비판했다.
스윙은 “아무리 혁신적인 이동수단이라도 처음엔 대중의 인지적 착오와 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새로운 변화를 이끈 문물의 시작부터 그 길이 평탄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면서 “과거 자전거에 대한 부정적 관념은 후세의 관점에서는 터무니없어 보일 뿐이다. 지금 킥보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다음 세대에서 돌아봤을 때 같은 감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일·사람 고민인 사람 모여"...‘잡앤피플 커넥팅 데이즈’ 개최2024.09.20
- "채용·성장·협업 고민 푼다"...'HR테크 어벤져스' 총출동2024.09.23
- 네이버·라인·배민·넷플릭스 등 '★' 기업 모인 잡페어 열린다2024.09.24
- "HR 경쟁력 높이는 최신 채용 트렌드부터 현직자 꿀팁 푼다"2024.09.26
끝으로 “공유킥보드와 자전거는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서 사용한다면 도시 내 이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대중교통의 사각지대를 메워줄 수 있다. 개인용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안전하게 쓰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탈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사람의 안전을 목표로 도로 위에서 무엇이 가장 위험하고 규제해야 하는 대상인지 먼저 판단해 정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