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코로나19 경증환자는 ‘큰병원’ 가지마세요”

고위험군 중증화 발전 위험 중증환자 중심 의료체계 운영키로

헬스케어입력 :2024/08/09 10:54    수정: 2024/08/09 11:08

보건당국이 코로나19 경증환자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대신 거주지 인근의 병·의원 이용을 요청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환자는 6월 말부터 증가해 이달 1주 861명까지 상승했다. 이러한 증가세는 최소 이달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경증환자는 동네 병·의원에서, 고위험군 및 중증 환자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원화해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응급실의 모습. (사진=김양균 기자)

이달 1주 평일 응급실 일평균 내원환자 수는 1만9천521명이었다. 이 가운데 코로나19 환자는 5.1%(996명)이었으며, 996명 중 중증환자는 6.2%(62명)에 불과했다. 즉, 응급실에 방문하는 코로나19 환자의 93.8%가 중등증 이하 환자로, 이러한 경증 코로나19 환자의 응급실 내원은 응급실 부하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이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는 “경증 코로나19 환자는 상급 병원이나 권역 응급 의료센터보다는 동네 병·의원을 이용하도록 해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하고 중증환자 중심 의료체계를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65세 이상·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관리는 필요하다. 복지부는 이들의 중증화 상태로의 상태 악화를 고려해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필요시 국가격리병상 270개소와 긴급치료병상 436개소 등 감염병 전담병상을 보유한 병원도 활용한다는 방침.

그럼에도 현재 전체 코로나19 입원환자 1만2천407명 중 65세 이상 비율은 65.2%(8천87명)로 가장 많고, 50세~64세 환자도 18.1%(2천251명)에 달한다. 결국 이들 고위험군의 관리가 대부분의 전공의가 떠난 수련병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이른바 ‘큰병원’ 의료인력의 업무 과중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